경향신문

신라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장식 첫 확인…하트 모양 장식에 붙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신라 고분에서 나온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장식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금관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토된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확인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020년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신라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장식 첫 확인…하트 모양 장식에 붙여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국가유산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국가유산청 제공

신라 고분에서 나온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장식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금관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토된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확인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020년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금동관이 나온 황남동 120-2호 무덤은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황남동 120호 무덤 남쪽에 자리한 무덤이다. 이 무덤에서는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귀걸이, 구슬 팔찌 등 화려한 장신구 일체가 무덤 주인이 착용했던 상태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 주목받았다.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무덤에서 찾은 치아를 조사해 무덤 주인은 10대 여성 왕족이며, 피장자의 곁에 3살 안팎의 어린아이를 순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금동관은 3개의 4단 출(出)자 모양 세움 장식, 2개의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그리고 관테로 구성되었다. 세움장식과 관테는 거꾸로 된 하트모양의 구멍을 뚫어 장식하였는데 비단벌레 날개는 이 구멍의 뒤쪽에 붙어 있었다. 금동관 곳곳에 뚫은 구멍을 화려한 빛깔의 비단벌레 날개로 메워 장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지금까지 모두 13곳에서 15장이 수착(흡착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된 상태)된 채로 발견됐다. 금동관 원래 위치에 그대로 붙어있는 날개장식이 7장이었고, 나머지 8장은 관에서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져 있는 상태였다.

금동관에 그대로 붙어있던 7장의 날개 장식은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에서 3장이 겹쳐진 상태였고, 나머지 4장은 원래의 위치에 한 장씩 붙어있었다. 현재 발견된 날개는 대부분 검게 변했지만, 부분적으로는 원래의 빛깔이 남아 있다고 조사단은 전했다.

딱정벌레의 일종인 비단벌레는 녹색 또는 금록색 광택이 나는 성충의 앞날개를 이용하여 각종 장식을 만드는데 사용됐다. 그동안 경주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쪽샘 44호 등 최상급 무덤에서만 출토된 바 있다. 말갖춤(馬具·말을 부리거나 꾸미기 위해 말에게 장착했던 안장, 발걸이, 말띠드리개 등 일체), 허리띠 등에 비단벌레 날개가 장식된 사례가 있었지만 금관이나 금동관에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사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가 확장됐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발견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이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며 “화려했던 신라 공예기술과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자연 상태의 비단벌레.   국가유산청 제공

자연 상태의 비단벌레. 국가유산청 제공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