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더는 두고 볼 수 없다”···이스라엘 ‘찔끔 구호’에 칼 빼든 유럽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영국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이스라엘의 비인도적 구호 차단과 전쟁 확대를 이유로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중단키로 했다.

석 달 가까이 이어져 온 인도적 구호 차단, '기드온의 전차'로 명명한 대대적 군사 작전,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이 높은 제한적 구호 허용 등 이스라엘의 노골적인 가자지구 점령 의도를 지켜봐 온 유럽이 실력 행사에 나선 모양새다.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교장관은 20일 하원 의회에서 "영국은 이스라엘 정부와의 새로운 FTA 협상을 중단했다. 2030 양자 로드맵에 따른 협력도 재검토할 예정"이라며 "네타냐후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리게 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더는 두고 볼 수 없다”···이스라엘 ‘찔끔 구호’에 칼 빼든 유럽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20일(현지시간) 영국 하원 의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20일(현지시간) 영국 하원 의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영국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이스라엘의 비인도적 구호 차단과 전쟁 확대를 이유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중단키로 했다. 유럽연합(EU)도 이스라엘과의 협정 재검토에 착수했다. 석 달 가까이 이어져 온 인도적 구호 차단, ‘기드온의 전차’로 명명한 대대적 군사 작전, 제한적 구호 허용 등 이스라엘의 노골적인 가자지구 점령 의도를 지켜봐 온 유럽이 실력 행사에 나선 모양새다.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교장관은 20일(현지시간) 하원 의회에서 “영국은 이스라엘 정부와의 새로운 FTA 협상을 중단했다. 2030 양자 로드맵에 따른 협력도 재검토할 예정”이라며 “네타냐후(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정부가 이런 결정을 내리게 했다”고 밝혔다.

전날 프랑스·캐나다 정상과 공동성명을 내고 대이스라엘 제재 가능성을 언급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이날 하원 연설에서 강경한 어조로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그는 “무고한 아이들이 다시 폭격을 당하는 이 상황은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수준”이라며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정착촌 건설을 재차 반대하며, 인도적 지원을 대폭 확대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영국 정부는 이날 치피 호토벨리 주영국 이스라엘 대사를 불러들여 항의의 뜻을 전하고 요르단강 서안지구 유대인 정착민을 대상으로 한 추가 제재도 발표했다. ‘이스라엘 정착민의 대모’ 다니엘라 바이스 등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을 주도하고 팔레스타인 시설 공격에 가담했던 인물들이 대상에 올랐다.

EU도 제재 논의에 착수했다. EU 27개국 중 17개국이 ‘EU-이스라엘 협정’ 재검토에 찬성 입장을 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 스웨덴, 아일랜드 등이 공개적으로 지지 의사를 밝혔다. 장노엘 바로 프랑스 외교장관은 “(이스라엘 구호 허용은) 매우 부족하다. 즉각적이고 대규모의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했고, 마리아 말머 스테너가드 스웨덴 외교장관은 “불법 정착 정책을 추진하고 미래의 ‘두 국가 해법’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이스라엘) 장관들을 표적 삼아 제재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3월 이스라엘의 인도적 지원 전면 차단으로 극한에 내몰린 가자지구의 참상이 알려지며 국제사회에서는 꾸준히 공분이 일어왔다. 국제사법재판소(ICJ)·국제형사재판소(ICC) 등 국제 사법기구도 이스라엘의 비인도적 행위와 전쟁범죄 혐의 등에 대해 법적 절차를 밟고 있다. 강제 점령 의도를 숨기지 않는 이스라엘 극우 정권을 향한 반감이 높아졌고 유럽 등 각지에서 항의 시위가 빈발했다. 유럽 내 친이스라엘 국가의 대표 격인 독일도 반대 목소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요한 바데풀 독일 외교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상황은 악화하고 있다”며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 추방은 결코 있어선 안 된다”고 했다.

제한적 구호 재개에 협조하는 등 이스라엘과 보조를 맞추는 미국 안에서도 균열 조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치전문매체 액시오스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 전쟁에 좌절감을 느끼고 팔레스타인 어린이의 희생에 분노했다고 보도했다. 또 보좌진에게 “전쟁 종식을 원한다”는 메시지를 네타냐후 총리에 전하게 했다고 한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스라엘 협의를 기다리지 않고 미국 국적 인질 에단 알렉산더 석방을 추진한 것은 이러한 좌절감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반발했다. 이스라엘 외교부는 “이스라엘의 안보를 외부의 압력으로 변경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현지 언론은 네타냐후 총리가 카타르 도하에서 휴전 협상을 이어온 협상단에게 복귀를 명령했으며 협상에 진전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이 재개한 제한적 구호 허용에 대해 유엔과 EU 국가들은 지원 규모가 지나치게 적을뿐더러 군사적·전략적 의도가 깔린 지원 방식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