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찰 간부 “방첩사 ‘체포조 지원’ 요청 보고···21세기에 이런 법이 있나 생각” 증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12·3 불법계엄 당시 윤승영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이 국군 방첩사령부의 '체포조 지원' 요청을 보고받고 이를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달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이 전 계장은 구 과장과 통화를 마친 후 윤 전 조정관에게 전화해 "국회로 오는 방첩사 체포조를 인솔하고 같이 다닐 인력을 국수본에서 지원해달라고 하는데, 국수본에는 인력이 없으니 영등포 형사로 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윤 전 조정관이 자신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청장님께 보고드렸다. 상부로 명단을 보내줘라"라고 말했다고 이 전 계장은 밝혔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찰 간부 “방첩사 ‘체포조 지원’ 요청 보고···21세기에 이런 법이 있나 생각” 증언

전 국수본 계장 “전화 받고 윤승영에 보고”

“계엄법·시행령 보고 지원···‘이상하다’ 싶었다”

지귀연 부장판사, 접대 의혹 별도 언급 안 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기소된 경찰 수뇌부에 대한 첫 공판이 열린 지난 3월20일 조지호 경찰청장(왼쪽부터)과 윤승영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 목현태 전 국회경비대장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준헌 기자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기소된 경찰 수뇌부에 대한 첫 공판이 열린 지난 3월20일 조지호 경찰청장(왼쪽부터)과 윤승영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 목현태 전 국회경비대장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준헌 기자

12·3 불법계엄 당시 윤승영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 수사기획조정관이 국군 방첩사령부의 ‘체포조 지원’ 요청을 보고받고 이를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달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윤 전 조정관에게 방첩사의 요청을 보고한 국수본 간부는 계엄법을 확인하고 “‘21세기에도 이런 법이 남아있나’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조 청장과 윤 전 조정관,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전 국회경비대장에 대한 6차 공판을 열었다.

이날 재판에서는 이현일 전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됐다. 이 전 계장은 지난해 12월3일 밤 구민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으로부터 두 차례 전화로 체포 인력 지원을 요청받았다. 이 전 계장은 “(구 과장의 목소리가)굉장히 당당했다”며 “당연히 우리(경찰)는 (방첩사가) 요구하면 해줘야된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 전 계장은 이 내용을 윤 전 조정관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 전 계장은 구 과장과 통화를 마친 후 윤 전 조정관에게 전화해 “국회로 오는 방첩사 체포조를 인솔하고 같이 다닐 인력을 국수본에서 지원해달라고 하는데, 국수본에는 인력이 없으니 영등포 형사(에서 하는 것으)로 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윤 전 조정관이 자신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청장님께 보고드렸다. 상부로 명단을 보내줘라”라고 말했다고 이 전 계장은 밝혔다. 그간 검찰은 방첩사의 체포 지원 요청이 이 전 계장을 거쳐 윤 전 조정관에게 전달됐고, 조 청장이 윤 전 조정관으로부터 이를 보고받은 뒤 체포 지원을 최종 승인했다고 주장해왔다.

이 전 계장은 방첩사 요청을 상부에 보고한 뒤 박창균 당시 영등포서 형사과장에게 전화했다. 이 전 계장은 이 통화에서 박 전 과장에게 일선 형사들로 이뤄진 체포조 명단을 요구하며 “일이 커. 왜 너는 이럴 때 영등포에 가 있니”라고 말했다. 이 전 계장은 “수십 년 만에 대통령이 계엄 선포하고 방첩사에서 국회로 체포까지 한다는 것 자체가 나라에 뭔가 큰일이 터졌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전 계장은 ‘계엄 상황에서 경찰 수사 인력이 방첩사를 지원하는 점에 대해 기쁜 마음이었나, 부득이하게 따른다는 마음이었나’라는 조 청장 측 변호인의 질문에 “계엄 사항을 흔쾌히 할 수는 없고, 오로지 계엄법과 시행령을 보고 (지원)했다”며 “그걸 보면서 ‘21세기에도 이런 법이 남아있나, 좀 이상하다’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법령에) 해야 한다고 돼 있어서 법에 따라 (방첩사를 지원)한 것”이라고 답했다. 구 과장이 체포조 지원을 요청한 뒤 이 전 계장 등 몇몇 경찰 간부들은 계엄 관련 법령을 찾아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날 지귀연 부장판사는 자신을 둘러싼 접대 의혹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지 부장판사는 지난 1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4차 공판을 시작하면서 “의혹 제기 내용은 사실이 아니고 그런 데 가서 접대받는 건 생각해본 적 없다”고 직접 밝혔다. 민주당은 곧바로 의혹 관련 사진 자료를 제시했다. 지 부장판사는 공개된 사진에 대해선 따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