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관세 전쟁 후 첫 G7 재무장관 회의 시작···‘동맹 균열’ 메꿔질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미국발 관세전쟁이 시작된 이후 첫 주요 7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0일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렸다.

올해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올라온 공식 안건은 세계 경제, 경제 안보와 회복력, 우크라이나의 상황, 금융 범죄, 인공지능 등 5가지다.

회의에는 주최국 캐나다를 비롯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모인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관세 전쟁 후 첫 G7 재무장관 회의 시작···‘동맹 균열’ 메꿔질까

프랑수아-필리프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왼쪽)이 20일(현지시간)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앞서 세르히 마르첸코 우크라이나 재무장관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프랑수아-필리프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왼쪽)이 20일(현지시간)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앞서 세르히 마르첸코 우크라이나 재무장관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발 관세전쟁이 시작된 이후 첫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0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렸다. 사흘간 진행되는 이번 회의에서는 관세와 러시아 제재·우크라이나 지원 계획 등이 주요 현안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해당 사안과 관련해 미국이 캐나다, 유럽과 입장 차이를 보이는 만큼 공동 의견을 모으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올해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올라온 공식 안건은 세계 경제, 경제 안보와 회복력, 우크라이나의 상황, 금융 범죄, 인공지능(AI) 등 5가지다. 회의에는 주최국 캐나다를 비롯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모였다.

외신들은 공식 안건에는 없는 ‘미국의 관세 부과’도 주요 논의 사항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재무장관들이 공통적인 무역 문제 해법을 찾는 동시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공개적인 갈등을 피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맞닥뜨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재무장관은 회의 개최 직전 무역 분쟁을 멈춰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장관은 캐나다로 향하는 비행기를 타기 전 “관세와 불확실성은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되고 고용 안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미국과의 무역 분쟁을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프랑수아-필리프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도 이날 G7 회의 개회사에서 “자유롭고 공정하며 규칙에 기반을 둔 다자간 무역 시스템은 우리 모두 이익을 얻는 시스템”이라고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회의에서 고율 관세 부과 정책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 재무부는 베선트 장관이 캐나다에서 시장 불균형과 비시장적 관행(시장경제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국가나 기업의 행위) 문제 해결 필요성, 중국 경제 모델 대응 등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장 불균형과 비시장적 관행은 미국이 각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주요 이유로 삼고 있다.

샹파뉴 장관은 이날 회의 개막 기자회견에서 G7 국가들이 공급 과잉을 보이는 중국산 저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대러시아 제재와 우크라이나 지원 수준이 어느 정도로 합의될지도 미지수다. 로이터통신은 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미리 준비한 공동성명 초안에는 ‘러시아의 전면적인 침략에 맞서 싸우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 등 내용이 담겨있다고 전했다. 올해 회의에는 세르히 마르첸코 우크라이나 재무장관도 특별 초청됐다.

하지만 미국은 대러시아 제재에 대해 유럽과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대러시아 제재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지난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뭔가 해낼 기회가 있고, (제재 부과 시)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유럽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 빼기’ 우려 속 대러 압박 공조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은 이날 러시아가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른바 ‘그림자 선단’ 소속 유조선 189척을 제재 명단에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재무부 관계자는 “아름다운 밴프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G7이 최종 성명에 합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AFP통신에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때인 2018년에는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계기로 미국과 나머지 국가의 갈등이 악화한 바 있다. 당시 6개국은 미국을 뺀 채 미국의 철강, 알루미늄 수입품 고율 관세 부과를 비판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