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남아공 대통령 앞에서 ‘백인 집단 학살’ 의혹 영상 기습 상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 취임 이후 잇달아 대립각을 세워온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과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의혹을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남아공에서의 백인 농부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도록 했으며, 백인 희생자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건네기도 했다.

영상에는 급진 좌파 정당 경제자유전사의 줄리어스 말레마 대표가 주도하는 집회 장면과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묻힌 곳'이라고 주장하는 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차량 행렬 등이 담겼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남아공 대통령 앞에서 ‘백인 집단 학살’ 의혹 영상 기습 상영

정상회담 초반 덕담 주고받다가 분위기 급변

라마포사 “나는 본 적 없다” 침착하게 대처

현지 언론들 “조작된 영상으로 매복 공격”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정상회담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게 ‘백인 학살 의혹’을 제기하는 문서를 건네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단학살의 희생자”라고 주장하는 백인 아프리카너들의 미국 정착 문제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다. AFP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정상회담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게 ‘백인 학살 의혹’을 제기하는 문서를 건네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단학살의 희생자”라고 주장하는 백인 아프리카너들의 미국 정착 문제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취임 이후 잇달아 대립각을 세워온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을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의혹을 제기하는 영상을 보여주고,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건네주기도 했다.

두 정상은 언론이 지켜보는 가운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서로 인사말과 덕담 등을 나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허용하면서부터 논의의 주제는 이른바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으로 옮겨갔고 양 정상 간에 공방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집단 살해 피해를 보는 사람은) 백인 농부들”이라며 “그 농부들은 흑인이 아닌 백인”이라고 주장한 뒤 “그들은 남아공을 떠나고 있다. 이것은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라마포사 대통령)은 그들이 땅을 빼앗도록 허용하고, 그들은 땅을 빼앗을 때 백인 농부를 살해한다. 그들이 백인 농부를 살해해도 그들에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21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간의 회담 중 ‘백인 농부 집단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AP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간의 회담 중 ‘백인 농부 집단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남아공에서의 백인 농부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도록 했으며, 백인 희생자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건네기도 했다.

영상에는 급진 좌파 정당 경제자유전사(EFF)의 줄리어스 말레마 대표가 주도하는 집회 장면과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묻힌 곳’이라고 주장하는 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차량 행렬 등이 담겼다.

말레마 대표는 영상에서 수만 명이 모인 가운데 ‘보어인(네덜란드 이주민)을 죽이고, 농부들을 죽이자’라는 구호를 외친다. 이는 말레마 대표의 트레이드 마크로 여겨질 정도로 익숙한 장면이다. 아프리카너(17세기 남아공으로 이주한 네덜란드 정착민들의 후손) 이익단체인 아프리포럼은 이 구호 사용을 금지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법원은 아파르트헤이트(흑백 인종차별정책) 시절 백인 정권에 저항하는 흑인들의 구호에서 비롯된 상투적 표현이라는 이유로 기각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 영상을 보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소수 정당 대표의 주장일 뿐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완전히 배치된다”고 강조하며 “누구도 토지를 빼앗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우리 나라에 범죄가 있고, 사람이 죽는다”면서 “범죄에 의해 죽는 것은 백인만이 아니다. 대부분 흑인”이라고 해명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매장된 곳’이라고 지목한 영상 속의 장소에 대해 “어디인지 알고 싶다. 나는 저것을 본 적이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또 “넬슨 만델라(전 남아공 대통령)로부터 우리는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탁자에 앉아서 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우려 사항에 대해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남아공 현지 eNCA 방송은 추후 아프리포럼을 인용해 이 영상이 조작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에 앞서 미·남아공 관계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남아공에 풍부한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을 포함한 양국 간 교역 확대와 투자 촉진을 의제로 삼고 싶다고 했지만 논의 방향은 트럼프 대통령의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주장으로 흘러갔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회담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게 ‘백인 농부 집단 학살’ 관련 기사를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회담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게 ‘백인 농부 집단 학살’ 관련 기사를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번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남아공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남아공 아프리카너에 대해서만 예외적으로 신속하게 난민으로 수용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뤄져 긴장된 분위기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을 찾았을 때와 같이 ‘파국’까지 치닫진 않았지만 보통의 외교 회담과는 확연히 달랐다.

남아공 현지 언론은 이날 백악관에서 마치 기습 공격을 하듯이 동영상을 틀고 기사 뭉치를 전달한 트럼프 대통령의 조처를 ‘매복’이라고 묘사하며 라마포사 대통령이 대체로 의연하게 대응했다고 평했다.

현지 매체 데일리 매버릭은 “트럼프가 집무실에서 멀티미디어 매복 공격을 했으나 라마포사는 침착함을 유지했다”고 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남아공에서 백인 농부가 박해와 살해를 당하고 있다는 주장을 계속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고 지난 3월에는 주미 남아공 대사를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하고 추방하기도 했다.

모든 난민 수용을 중단한 가운데 유일한 예외로, 남아공 아프리카너 백인 49명을 난민으로 받아들여 정착을 돕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월 남아공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지에 대해 질문받자 “미국이 없으면 그것은 이전과 같은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G7(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주요 7개국)이 러시아를 회원으로 유지했더라면 우크라이나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회담장에는 남아공 태생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자리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