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O·바이오시밀러 완전 분리’ 공시
주총 등 절차 거쳐 10월 창립 예정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옥. 삼성바이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지주사는 신규 투자 등 사업 부문을 맡고 바이오시밀리(복제약)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자회사로 두게 된다. 위탁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완전히 분리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양사가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2일 공시를 통해 단순·인적분할 방식으로 순수 지주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가칭)를 설립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가 삼성에피스홀딩스 대표이사를 겸임할 예정이다.
분할은 7월29일 증권신고서 제출, 9월16일 분할 승인 목적의 주주총회 개최 등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창립 예정일은 10월1일이고,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편입해 분할을 완료한다. 10월29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변경 상장과 신설 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재상장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할 전후 지배구조.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이번 분할은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나눠 갖게 되는 인적분할 방식으로 진행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존 주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을 0.6503913 대 0.3496087의 비율로 받는다. 신주 배정 기준일 전날인 9월29일부터 변경상장 및 재상장일 전날인 10월28일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거래는 일시 정지된다.
유승호 삼성바이오로직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온라인설명회를 열고 이번 분할 배경에 대해 “의약품 위탁생산(삼성바이오로직스)과 개발(삼성바이오에피스)을 하는 두 회사가 모자회사로 엮여 그간 일부 고객사에게 이해충돌의 우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오리지널 의약품 생산을 맡기는 글로벌 기업의 기술이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넘어가는 문제 등 잠재적인 이해충돌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조처라는 것이다. 유 CFO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각각 가진 안정성과 고수익이라는 강점이 모자기업 관계에서는 상쇄되는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대주주로 있는 삼성물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배기업(지분율 43.6%)이기도 하다. 이에 분할 결정과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의 관련성에 대한 의문도 나왔다. 인적분할로 인해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배구조(이 회장→삼성물산→삼성에피스홀딩스→삼성바이오에피스)가 생기기 때문이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하지만 유 CFO는 “이번 분할 건은 그룹의 지배구조 개편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분할은) 비즈니스 목적으로 우리 회사 자체에서 발의를 한 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발 관세 정책의 변화로 수주 경쟁이 커지고 대외 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기존의 이해충돌 문제가 더 부각될 수 있는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급격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민첩하게 대응하고, 양사 모두가 성장을 가속화해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