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교육청 전경. 대전시교육청 제공
대전에서 일부 학교의 급식 차질을 불러왔던 교육청과 비정규직 노조의 직종교섭이 재개됐다.
대전시교육청은 22일 당직실무원을 시작으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의 직종교섭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대전시교육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해 8월부터 5개월에 걸쳐 직종교섭을 진행했으나 결렬된 바 있다. 당시 요구안이 수용되지 않자 노조는 교섭결렬 선언 후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했고, 조정중지 결정이 내려지면서 지난 2월부터 쟁의행위에 돌입했다.
이로 인해 지난달부터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 차질도 빚어졌다. 중구의 한 중학교에서는 조리원들의 단체 병가 등으로 급식 제공이 어려워져 한 달 넘게 대체 급식이 이뤄지다 지난 19일에야 급식이 재개됐다. 이 학교보다 먼저 저녁 급식이 중단된 서구의 한 고등학교는 조리원들의 요구 수용과 급식 재개 여부에 관해 학부모 의견을 수렴 중이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급식 문제 해결을 위해 조리원 직종에 대한 우선 교섭을 요구했으나 당직실무원을 우선 교섭 대상으로 제시한 노조 의견을 수용해 교섭을 시작했다”며 “당직실무원 교섭 이후에는 조리원을 최우선 교섭 대상으로 하도록 전 직종 교섭 진행 일정안을 마련해 노조 측과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 지역 많이 본 기사
교섭 대상 직종은 당직실무원과 조리원 외에도 청소실무원과 돌봄전담사 등 모두 28개에 이른다. 노조 측의 직종교섭 주요 요구안은 당직실무원 정년 연장, 조리원 배치기준 하향, 조리공정 간소화 및 노동강도 완화, 방학중 비근무자 상시직 전환, 직종별 고유업무 외 업무지시 금지 등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교섭이 재개된 만큼 학교 현장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성실히 교섭에 임하겠다”며 “교섭을 통해 노조 측과 생산적인 대안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