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노령화되는 건설현장···60대 건설기술인, 40대 첫 추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건설현장의 노령화가 심해지면서 건설기술인 중 60대의 비중이 40대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22일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등록된 건설기술인 103만5724명 중 60대 이상은 27만7432명으로, 40대보다 많았다.

60대 이상 건설기술인 수가 40대를 앞지른 것은 연구원이 연령별 현황을 분석하기 시작한 2020년 이래 처음이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노령화되는 건설현장···60대 건설기술인, 40대 첫 추월

입력 2025.05.22 16:51

서울의 한 주택 재개발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하는 모습. 경향신문 자료사진

서울의 한 주택 재개발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하는 모습. 경향신문 자료사진

건설현장의 노령화가 심해지면서 건설기술인 중 60대의 비중이 40대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특히 숙련도가 중요한 전문건설업 분야의 노령화가 두드러져 건설산업의 생산성·전문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등록된 건설기술인 103만5724명 중 60대 이상은 27만7432(26.8%)명으로, 40대(25만8143명·24.9%)보다 많았다. 60대 이상 건설기술인 수가 40대를 앞지른 것은 연구원이 연령별 현황을 분석하기 시작한 2020년 이래 처음이다.

높은 업무 강도와 낮은 임금 등으로 건설업계에 2030세대 젊은층 유입이 줄어든 것이 노령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20대 건설기술인은 전체의 3.2%인 3만3211명에 불과했는데, 이마저도 지난해 12월(4만1758명) 이후 두 달 사이 8547명 줄었다. 30대 건설인도 12만2507명(11.8%) 으로 두달새 2651명 감소했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 제공.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 제공.

건설기술인의 평균연령은 2023년 50세를 넘어선 뒤 지난 2월 기준 52.2세까지 높아졌다. 2018년엔 47.7세였다.

건설업계의 노령화 현상은 업무 경험과 숙련도가 중요한 전문건설업 분야에서 한층 두드러지고 있다. 건설기술인의 연령별 업종 분포를 보면, 다른 연령대에서는 42.2%~49% 비중으로 종합건설업 종사자가 가장 많았는데 60대 이상의 경우 유일하게 전문건설업 종사 비중이 34.6%로 가장 컸다. 노령화는 단순한 인력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전반의 생산성·전문성 약화와 결부돼 있다는 뜻이다.

다만 여성 건설기술인 비중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여성 건설기술인은 15만5958명(15.2%)으로 작년 12월 조사 때(14만6484명, 15.1%) 보다 9400여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