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금감원 “부동산PF 급한불 껐다”지만···업계에선 ‘부실 이연’ 우려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중 부실 사업장의 40%가량이 정리된 것으로 집계됐다.

부실 규모가 가장 컸던 상호금융도 부실 PF 11조6000억원 중 4조2000억원을 정리했고, 올해 상반기 중 7000억원을 추가로 정리할 수 있다고 봤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1년 간의 정상화 노력을 통해 부실PF의 뇌관을 제거했다"며 "부실 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현장점검 및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향후 현장검사 등을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금감원 “부동산PF 급한불 껐다”지만···업계에선 ‘부실 이연’ 우려도

서울 마포구 한 공사 현장 모습.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한 공사 현장 모습. 연합뉴스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중 부실 사업장의 40%가량이 정리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두 차례에 걸친 사업성 평가로 부실 사업장을 솎아낸 지 1년여 만이다. 당국은 “PF 위기의 뇌관이 제거됐다”고 자평했으나 부실 처리 속도가 여전히 늦고, 당국이 부실 규모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감독원은 22일 부실 PF 사업장 규모(지난해말 기준)가 총 23조9000억원이며 이중 9조1000억원을 올해 3월까지 정리(재구조화 포함)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다음달까지 3조5000억원을 추가로 정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상반기 중 전체 부실의 52.7%(12조6000억원)를 털어낼 수 있다고 했다.

이로써 금감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상호금융(새마을금고 포함)을 제외한 대부분 업권의 부실PF 잔액이 1조원 내외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실 규모가 가장 컸던 상호금융도 부실 PF 11조6000억원 중 4조2000억원(36.2%)을 정리했고, 올해 상반기 중 7000억원(6.0%)을 추가로 정리할 수 있다고 봤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1년 간의 정상화 노력을 통해 부실PF의 뇌관을 제거했다”며 “부실 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현장점검 및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향후 현장검사 등을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ㄴ

그러나 금융당국이 이날 제시한 올해 상반기 정리 물량은 지난해 말 당국이 제시한 목표치(16조2000억원)보다는 3조6000억원 가량 적은 수치다. 부실 정리 진행 속도가 늦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인허가 등 법적 절차 등에 시간이 소요됐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부실 PF 규모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까지 지방·비수도권 등 고위험 브릿지론 위주로 유의 이하(C·D) PF사업장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부실PF 비중이 타 업권보다 높은 저축은행은 기존 보통 이상(A·B) 잔액 중 1년 내 유의 이하(C·D)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잔액 비중이 21.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숨겨진’ 부실도 잠재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사들 사이에선 금융당국의 강화된 사업성 평가기준을 피해 PF 부실을 이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대주단이 수익증권을 조달해 새로운 펀드를 만들고, 공사가 진척되지 않아 부실화된 PF대출을 이 펀드를 통해 다시 떠안는 이른바 ‘파킹거래’가 대표적이다. 경·공매를 통해 손실이 확정되고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것을 피하기 위한 일종의 꼼수다.

황보창 한국기업평가 연구위원은 “실제로 부실이 해소되려면 공사가 마무리되고 분양이 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만기만 뒤로 미뤄놓은 PF 사업장들이 적지 않다”며 “2~3년 뒤 건설경기가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면 부동산 PF 위기가 2027년 이후 다시 쟁점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