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5월 만감이 달콤하지만은 않은 까닭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5월 만감이 달콤하지만은 않은 까닭

지난 20일 오후 퇴근길에 생활협동조합(생협)에서 제주 세미놀을 사왔다. 2㎏ 한 상자에 1만9500원. 지난해 1만9550원과 큰 가격 차이가 없다. 세미놀은 온주밀감처럼 가을·겨울이 아닌 봄에 수확하는 귤인 만감류다.

그런데 세미놀은 다른 만감류와 달리 과육 한쪽 한쪽마다 씨앗이 있다. 과일 1개에 5~15개쯤 씨앗이 나온다. 먹기에 조금 불편하다. 또 당도보다는 산도가 높다. 그래도 과즙이 풍부해 최근 시작된 무더위에 쌓인 피로를 날려버리기에 충분했다. 만감의 특별한 효능이다. 왜 조선시대 신하들이 감귤을 임금에게 가장 받고 싶은 하사품으로 꼽았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에는 400여종의 감귤이 있는데 그중 40여종을 주로 키운다. 이 가운데 나는 만감을 좋아한다. 1월 말부터 레드향과 한라봉을 시작으로 천혜향, 청견, 진지향, 세미놀 등이 5월 말까지 나온다. 당도는 레드향이, 산도는 천혜향이 강하다. 나도 이 둘을 가장 좋아한다. 그런데 올해는 가격이 저렴한 세미놀에 손이 간다.

그 전주 퇴근길에는 청로를 샀다. 생협에서 청로 가격은 세미놀보다 비싼 2만5300원이었다. 앞선 4월에 천혜향은 이보다 가격이 좀 더 비싼 2만6700원이나 했다. 천혜향과 청로는 지난해에는 2만2000~2만3000원이었는데 올해에는 10% 이상 올랐다. 2년 전에는 2만원을 하지 않았다. 해마다 가격이 오른다. 기후위기 때문이다.

지난해 제주는 8월까지 폭염에 가뭄이 겹쳤다. 그러다 9월에 비가 몰아서 내리면서 귤의 중간이 터지는 열과 피해가 극심했다. 지난해 열과 피해가 전체 과수의 19.8%에 달하며 2023년 피해(8%)의 2배 이상이었다. 지난해에는 기상 관측 이래 113년 만에 가장 더웠는데 최남단인 제주는 한반도가 겪고 있는 이런 기후위기의 최전선이었다.

기후위기 탓에 아예 생협에서 구경하기가 어려운 만감 품종도 있다.

올해는 특히 내가 좋아하는 레드향을 보기 어려웠다. 껍질이 얇아서 지난해 폭염 피해가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황금향이나 진지향은 동네 생협에서 몇년째 못 봤다. 이런 상황에서 한결같은 가격의 세미놀이 반갑기까지 하다.

문제는 감귤만이 아니다. 올해 제주 월동무는 유난히 작았다. 내가 요리를 시작한 20여년 동안 봐온 월동무 가운데 가장 작았다. 폭염과 가을장마로 무 씨앗의 파종 시기가 늦었던 게 원인이다. 가격도 올랐다.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월동무는 지난해에 견줘 190%나 비쌌다. 제주는 겨울에 영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반도 유일한 곳이어서 전국 월동무를 책임지는 지역이다.

가격이 올라도 월동무를 살 수 있는 게 다행인 셈이다. 만약 봄에 제주 월동무가 나오지 않는다면 봄김치를 어떻게 담글 수 있을까? 제주의 감귤과 무뿐 아니라 강원의 배추, 경북의 사과도 위태롭기는 마찬가지다. 5월 말, 때 이른 무더위에 까먹는 새콤달콤한 세미놀이 마냥 시원하게 느껴지지 않는 까닭이다.

권은중 음식 칼럼니스트

권은중 음식 칼럼니스트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