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4월 생산자물가 6개월 만에 떨어져···오이값 35% 하락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농산물 출하량 증가, 유가 하락 등으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반년 만에 떨어졌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4로 전월보다 0.1% 하락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떨어진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4월 생산자물가 6개월 만에 떨어져···오이값 35% 하락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식품류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식품류 모습. 연합뉴스

농산물 출하량 증가, 유가 하락 등으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반년 만에 떨어졌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4(2020년 수준 100)로 전월(120.36)보다 0.1% 하락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떨어진 것은 지난해 10월(-0.1%)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0.9%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농산물(-5.8%)·수산물(-0.7%)을 포함해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1.5% 낮아졌다. 공산품(-0.3%) 중에서는 석탄·석유제품(-2.6%)·화학제품(-0.7%)이 주로 생산자물가를 끌어내렸다. 서비스업(0.2%)의 경우 음식점·숙박(0.6%) 위주로 물가가 오히려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양파(-15.8%)·오이(-35.1%)·나프타(-5.8%)·휴대용전화기(-5.6%)·경유(-1.8%) 등이 내렸다. 돼지고기(8.2%)·달걀(11.4%)·플래시메모리(10.7%) 등은 뛰었다.

한은은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탄·석유·화학제품 가격이 내렸고 출하량 증가 등에 농산물 가격도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어 “5월 들어 21일까지 평균 유가도 전월보다 6% 정도 하락한 만큼,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5월 생산자물가에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도 3월보다 0.6% 낮아졌다. 원재료(-3.6%)·중간재(-0.4%)·최종재(-0.1%)가 모두 내렸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4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3% 떨어졌다. 농림수산품(-1.4%)·광산품(-0.8%)·공산품(-0.6%)이 하락을 주도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