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석열 부부 겨냥 특검법, 발의된 것만 3건···‘거부권 변수’ 소멸에 급물살 타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제21대 대통령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특별검사 추진이 본격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 중인 3개 특검법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내란·외환 행위 의혹을 다루는 '내란 특검법',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건진법사 등의 불법 선거 개입 및 국정농단 의혹을 규명할 '김건희 특검법',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파헤칠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이다.

내란 특검법은 윤 전 대통령의 12·3 불법계엄 선포와 관련해 국헌문란과 군형법상 반란죄, '무인기 평양 침투 등 방법으로 북한의 공격을 유도해 전쟁 또는 무력 충돌을 일으키려 했다'는 형법상 외환죄, 내란목적의 예비, 음모, 선동, 선전 등 11개 혐의를 수사대상으로 한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석열 부부 겨냥 특검법, 발의된 것만 3건···‘거부권 변수’ 소멸에 급물살 타나

윤석열 정부서 연이은 거부권 행사로 쌓인 특검법

동시가동 때 파견검사 100명, 통상업무 차질 전망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에서 투표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에서 투표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특별검사(특검) 추진이 본격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과거 윤 전 대통령과 권한대행들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번번이 막혔던 민주당 주도 특검법안 3건이 새 정부에서는 급물살을 타고 처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특검법안 중에서도 12·3 내란 책임자 처벌을 강조했다.

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 중인 3개 특검법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내란·외환 행위 의혹을 다루는 ‘내란 특검법’,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건진법사 등의 불법 선거 개입 및 국정농단 의혹을 규명할 ‘김건희 특검법’,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파헤칠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이다.

내란 특검법은 윤 전 대통령의 12·3 불법계엄 선포와 관련해 국헌문란과 군형법상 반란죄, ‘무인기 평양 침투 등 방법으로 북한의 공격을 유도해 전쟁 또는 무력 충돌을 일으키려 했다’는 형법상 외환죄, 내란목적의 예비, 음모, 선동, 선전 등 11개 혐의를 수사대상으로 한다.

김건희 특검법은 서울고검이 재수사 중인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등을 통한 공천개입 의혹, 명씨·건진법사 전성배씨 등 민간인을 매개로 한 국정농단 의혹, 고가의 명품가방과 다이아몬드 목걸이 등 금품 수수 의혹 등 16개가 수사대상이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선 삼부토건 등 관련 기업도 수사 범위에 있다.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및 양평 공흥지구 개발 관련 부당 개입 의혹’ 등에선 김 여사뿐 아니라 그 일가도 수사대상에 포함됐다.

채 상병 특검법은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 등의 은폐·무마·회유 시도가 있었는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이 김 여사 등에게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구명 로비’를 했는지 등 8개가 수사대상이다.

3개 특검법 중 내란·김건희 특검은 각각 파견검사 40명 등 총 205명 규모로 170일간, 채 상병 특검은 파견검사 20명 등 총 105명 규모로 140일간 수사한다. 3개 특검이 동시에 가동되면 파견검사만 100명에 달한다. 검사수만 서울중앙지검(약 260명)의 40%, 서울남부지검(약 100명) 전체와 맞먹는 규모다.

검찰 안팎에선 동시에 3개 특검이 가동되면 통상업무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상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일의 순서로 본다면 가장 급한 것부터 먼저 처리하는 게 맞다”며 “가장 급한 건 내란 문제이고, 권력형 비리인 김 여사 문제에 대한 특검도 급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4일 이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특검3법 처리를 서두르고 있다. 민주당은 임시국회 첫날인 5일 국회 본회의를 열고 우선 특검3법을 처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여권이 압도적 의석을 점하고 있어 특검법안은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취임선서를 한 뒤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내란 수사와 관련해 “철저한 진상규명으로 합당한 책임을 묻고 재발방지책을 확고히 세우겠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중 야당 단독으로 통과한 김건희 특검법과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세 차례에 걸쳐 거부권을 행사했다. 내란 특검법은 최상목·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해 무산됐다. 재발의를 반복한 3법은 지난달 7일 민주당 주도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현재 국회 본회의 회부를 앞두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