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서울 용산구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우세했던 지역으로 나오지만 위쪽 지역인 청파동·후암동 등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아래쪽 지역인 한남동·서빙고동은 김문수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온도차가 있어 보입니다.

지난 대선과 이번 대선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양당의 득표율 변화를 비교해 민심의 변화도 보여드립니다.

특정 정당이 승리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난 대선에 비해 득표율 차이가 줄어들었다면, 상대 정당이 선전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대통령 선거, 우리 동네 근처의 후보별 득표율은 어떤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지난 선거에 비해 민심이 확연히 돌아선 지역은 어디인지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경향신문 데이터저널리즘팀 다이브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읍면동별 데이터를 지도 위에 얹었습니다. 시군구별로 보면 특정 후보를 지지한 것처럼 보이는 지역도 읍면동별로는 민심이 다른 곳도 있습니다.

서울 용산구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우세했던 지역으로 나오지만 위쪽 지역인 청파동·후암동 등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아래쪽 지역인 한남동·서빙고동은 김문수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온도차가 있어 보입니다.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지난 대선과 이번 대선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양당의 득표율 변화를 비교해 민심의 변화도 보여드립니다. 특정 정당이 승리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난 대선에 비해 득표율 차이가 줄어들었다면, 상대 정당이 선전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지도상 화살표의 길이와 크기로 표현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이 지난 대선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인터랙티브 뉴스로 접속해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링크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사이트 주소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기 하셔도 됩니다. 네이버의 경우 화면 맨 위 전송시각 옆의 ‘기사원문’ 버튼을 클릭하시면 쉽게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han.co.kr/kh_storytelling/2025/vote_2025


우리 동네 득표율, 전국과 얼마나 다를까?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