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혼자 읽는 시대 가고 책과 우정을 함께 나눈다···‘교환독서’ 해보실래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풀은 지난 1월 SNS에서 처음 '교환독서'를 접했다.

열매는 "요즘엔 내 생각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교환독서를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고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풀은 "친구의 밑줄과 메모를 따라가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과 마주하게 된다"며 "교환독서를 할 때 책은 단순한 물건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공간이 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혼자 읽는 시대 가고 책과 우정을 함께 나눈다···‘교환독서’ 해보실래요?

풀(활동명·25)은 지난 1월 SNS에서 처음 ‘교환독서’를 접했다. 몇 사람들이 책 한 권을 돌려 읽으며 떠오르는 감상을 책 귀퉁이에 서로 남겼다.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함께 할 사람을 모았다. 하나둘씩 모인 사람들은 8일까지 5개월여 동안 9권의 책을 읽었다. 한 권 한 권 독파한 책이 쌓일수록 풀의 곁에 친구도 늘어갔다.

여러 사람이 책 한 권을 돌려 읽으며 감상을 나누는 교환독서가 청년들 사이에 새로운 독서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교환독서 후기가 SNS에 퍼지자 출판사들도 교환독서 독자를 모집하는 등 홍보에 나섰다. 청년들은 교환독서가 “책과 함께 우정을 교환하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한 시민이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책을 구매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한 시민이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책을 구매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책을 교환하는 방식은 각양각색이다. 평소 읽고 싶었던 책을 읽은 뒤 상대방에게 건네기도 하고 서로에게 책을 골라주기도 한다. 책을 읽을 땐 서로 다른 색의 펜으로 밑줄을 긋거나 책 귀퉁이에 떠오르는 생각을 쓰기도 한다. 그렇게 감상을 담아낸 책을 상대방에게 건네면 상대방은 또 다른 감상을 덧대 표시한 책을 돌려준다. 그렇게 한 권의 책은 여러 명의 손길이 닿은 ‘사유의 장’이 된다.

강은수씨(24)는 “교환독서 방법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라며 “샤프로 밑줄을 긋는 사람도, 예쁜 글씨로 감상을 적어주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승희 시인의 시집 <작약은 물속에서 더 환한데>를 친구에게 보내고, 안미옥 시인의 시집 <온>을 받았다. 강씨는 친구가 밑줄 그은 ‘너는 무서워하면서 끝까지 걸어가는 사람’(안미옥 시인의 시 <생일편지> 중)이라는 문장을 오래 기억했다.

열매(활동명·21)는 정보라 작가의 소설 <한밤의 시간표>를 기억에 남는 책으로 꼽았다. 책 속 ‘익살맞게 웃는 양 얼굴’이라는 문장 아래에는 열매와 그의 친구들이 그린 양들이 있었다. 그림과 글 속에 배인 저마다의 개성을 느끼는 건 그가 꼽은 교환독서의 재미 중 하나였다. 마왕(활동명·28)은 박서련 작가의 소설 <마법소녀 은퇴합니다>를 함께 읽은 순간을 기억했다. 그는 “같은 부분에서 모두 ‘이 사람 뭐야!’하고 경악하는 메모를 남겨놔서 재밌었다”며 “같은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이 교환독서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풀(25)과 열매(21)가 함께 읽은 정보라 작가의 <한밤의 시간표>의 페이지 아래 각자가 그린 양 그림들이 늘어서 있다. 풀 제공

풀(25)과 열매(21)가 함께 읽은 정보라 작가의 <한밤의 시간표>의 페이지 아래 각자가 그린 양 그림들이 늘어서 있다. 풀 제공

청년들은 교환독서를 통해 다른 사람과 깊이 교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열매는 “요즘엔 내 생각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교환독서를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고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풀은 “친구의 밑줄과 메모를 따라가다 보면 그 사람의 내면과 마주하게 된다”며 “교환독서를 할 때 책은 단순한 물건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공간이 된다”고 말했다. 풀은 최진영 작가의 소설 <내가 되는 꿈>을 친구와 교환해 읽었다. 친구는 소설의 말미에 “나에게 자유를 준 소설이야, 고마워”라고 썼다.

풀(25)이 친구와 함께 읽은 책에 메모가 표시 되어 있다. 풀 제공

풀(25)이 친구와 함께 읽은 책에 메모가 표시 되어 있다. 풀 제공

청년들이 추천한 ‘교환독서’하기 좋은 책 모음

최진영 작가의 소설 <내가 되는 꿈>, <단 한 사람>

두 책 모두 ‘나’와 ‘삶’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 있는 작품이고, 문장이 좋아서 서로의 밑줄이 겹치는 짜릿하고 몽글한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양귀자 작가의 소설 <모순>

두 남자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인물의 곁에서 각자의 생각을 나누며 삶을 고민해보는 시간이 재미있을 것 같아요.

이혜미 시인의 시집 <빛의 자격을 얻어>

시집을 관통하는 말이 ‘빛’이라서 어렵지 않게 읽힙니다. 책 귀퉁이를 정말 많이 접기도 했고 생각해볼 만 한 문장들도 있어서 교환독서용으로 좋아요.

김지혜 작가의 <가족 극본>

성소수자, 장애인, 아동 등 우리 사회 소수자들이 겪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함께 의논해볼 수 있는 책이에요.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