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라면부터 맥주까지···내란 6개월, 그 사이 가공식품 52개 품목 가격 올랐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12·3 불법계엄 사태로 정국이 어수선했던 지난 6개월간 시민들이 즐겨 찾는 가공식품 가격이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자릿수 상승한 가공식품은 3분의 2인 50개에 달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의 전달 대비 상승률은 4.1%로 계엄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라면부터 맥주까지···내란 6개월, 그 사이 가공식품 52개 품목 가격 올랐다

오징어채 31.9% 상승···초콜릿·커피도 급등

라면·아이스크림·유산균 등도 5% 내외 상승

식품 기업들, 국정 공백기 틈 타 가격 올린 듯

연합뉴스

연합뉴스

12·3 불법계엄 사태로 정국이 어수선했던 지난 6개월간 시민들이 즐겨 찾는 가공식품 가격이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눈치를 보며 가격 인상을 자제하던 식품 기업들이 국정 공백기의 틈을 타 제품 가격을 무더기로 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가운데 계엄사태 직전인 지난해 11월 대비 물가지수가 상승한 품목은 52개로 전체의 71.2%를 차지한다.

6개월간 가격이 5% 이상 오른 품목은 19개에 달한다. 오징어채가 31.9%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초콜릿은 10.4% 치솟았고 커피는 8.2% 상승했다. 양념 소스와 식초, 젓갈은 7% 넘게 올랐다. 빵과 잼, 햄·베이컨은 6%가량 올랐다.

라면과 아이스크림, 어묵, 유산균은 5% 안팎의 상승률을 보였다. 스낵과자, 편의점 도시락, 즉석식품, 케이크, 단무지, 혼합조미료 등은 3∼4% 올랐다. 김치와 맥주는 2% 이상 올랐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와 비교하면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70개가 올랐다. 두 자릿수 상승한 가공식품은 3분의 2인 50개에 달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의 전년 동울 대비 상승률은 4.1%로 계엄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1.3%)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식품 기업들은 제품 가격 인상 이유로 원재료 값 급등, 환율 상승 등을 든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원가 부담이 완화된 상황에서도 가격을 인상한 사례가 많다”며 “라면, 빵 같은 필수 식료품 값이 오르면서 저소득층의 부담만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