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젊은층 유행 ‘교환독서’를 아시나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풀은 지난 1월 SNS에서 처음 '교환독서'를 접했다.

열매는 "내 생각만 고집하는 사람이 많은데 교환독서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고 했다.

풀은 "책이 단순한 물건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공간이 된다"고 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젊은층 유행 ‘교환독서’를 아시나요

입력 2025.06.09 06:00

한 권을 여러 명이 돌려 읽기

다른 시각 나누고 우정 쌓아

젊은층 유행 ‘교환독서’를 아시나요

풀(25·활동명)은 지난 1월 SNS에서 처음 ‘교환독서’를 접했다. 몇 사람이 책 한 권을 돌려 읽으며 감상을 책 귀퉁이에 남겼다.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함께할 사람을 모았다. 하나둘 모인 사람은 5개월간 9권의 책을 읽었다. 독파한 책이 쌓일수록 곁에 친구도 늘어갔다.

여러 사람이 책 한 권을 돌려 읽으며 감상을 나누는 교환독서가 청년들 사이에 새로운 독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교환독서 후기가 SNS에 퍼지자 출판사들도 교환독서 독자를 모집하는 등 홍보에 나섰다. 청년들은 교환독서가 “책과 함께 우정을 나누는 행위”라고 했다.

책을 교환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평소 읽고 싶었던 책을 읽은 뒤 상대방에게 건네기도 하고 서로 책을 골라주기도 한다. 책을 읽을 땐 서로 다른 색 펜으로 밑줄을 긋거나 책 귀퉁이에 떠오르는 생각을 쓰기도 한다. 책을 상대방에게 건네면 그는 또 다른 감상을 덧붙인 책을 돌려준다. 그렇게 한 권의 책은 여러 명의 손길이 닿은 ‘사유의 장’이 된다.

강은수씨(24)는 “교환독서 방법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라며 “밑줄을 긋는 사람도, 예쁜 글씨로 감상을 적어주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그는 이승희 시인의 시집 <작약은 물속에서 더 환한데>를 친구에게 보내고, 안미옥 시인의 시집 <온>을 받았다. 강씨는 친구가 밑줄 그은 ‘너는 무서워하면서 끝까지 걸어가는 사람’(안미옥 ‘생일 편지’ 중)이라는 문장을 오래 기억했다.

열매(21·활동명)는 정보라 작가의 소설 <한밤의 시간표>를 기억에 남는 책으로 꼽았다. 책 속 ‘익살맞게 웃는 양 얼굴’이라는 문장 아래에 열매와 친구들이 그린 양들이 있었다. 그림과 글 속에 밴 저마다의 개성을 느끼는 건 그가 꼽은 교환독서의 재미 중 하나였다.

청년들은 교환독서를 통해 타인과 깊이 교류할 수 있었다고 했다. 열매는 “내 생각만 고집하는 사람이 많은데 교환독서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고 했다. 풀은 “책이 단순한 물건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공간이 된다”고 했다. 풀은 최진영 작가의 소설 <내가 되는 꿈>을 친구와 교환해 읽었다. 친구는 책 끝에 “나에게 자유를 준 소설이야, 고마워”라고 썼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