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두 달 새 4명 추락사···“전북 산업현장 재해 반복, 제도 개선 시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전북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 추락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이 기본적인 보호장비조차 갖추지 못한 채 고위험 작업에 투입된 사례로, 현장 안전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과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군산경찰서와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오전 11시 10분쯤 군산시 오식도동의 한 에너지 설비 제조업체에서 방청 작업을 하던 하청 노동자 A씨가 전동 사다리형 고소 작업대에서 약 6m 아래로 추락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두 달 새 4명 추락사···“전북 산업현장 재해 반복, 제도 개선 시급”

입력 2025.06.10 11:55

일러스트 | 성덕환 선임기자

일러스트 | 성덕환 선임기자

전북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 추락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두 달여 사이 4명의 노동자가 작업 도중 추락해 숨졌다. 대부분이 기본적인 보호장비조차 갖추지 못한 채 고위험 작업에 투입된 사례로, 현장 안전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과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군산경찰서와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오전 11시 10분쯤 군산시 오식도동의 한 에너지 설비 제조업체에서 방청(녹 방지) 작업을 하던 하청 노동자 A씨(59)가 전동 사다리형 고소 작업대에서 약 6m 아래로 추락했다. A씨는 머리 등을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경찰은 A씨가 사고 당시 안전띠 등 기본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보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포함해 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A씨의 사망은 올해 들어 전북에서 발생한 네 번째 추락사고다. 지난 4월 8일에는 부안의 한 아파트 외벽에서 고압 물청소 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21일에는 전주시 완산구에서 도색 작업을 준비하던 50대 노동자가 각각 작업 도중 추락해 숨졌다. 지난달 31일에도 김제시 황산면의 한 벽돌공장에서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하던 60대 노동자가 6m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사고는 대부분 작업 중 기본적인 안전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했다. 보호장비가 지급되지 않거나, 지급돼도 관리·감독이 부실해 노동자들이 착용하지 않은 채 작업에 나선 것이다. 그런데도 반복되는 추락 사고에 대한 책임을 묻는 구조는 여전히 느슨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북 지역 산업재해 사망자는 3명이다. 지난해 전북에서는 총 32건의 중대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일곱 번째로 많은 수치다.

2022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우 해당 사업장의 경영책임자에게 형사책임을 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책임의 외주화, 안전관리 체계 부실, 예방 시스템 미비 등 구조적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전북은 여전히 ‘산재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며 “위험 작업에 대한 실질적인 작업 중지권 보장과 노동자 참여 확대 등 구조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