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서울대공원, 산양 3마리 야생생물보전원 이동···교류로 종보전 지속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서울대공원, 산양 3마리 야생생물보전원 이동···교류로 종보전 지속

입력 2025.06.11 09:22

유전다양성 위해 야생생물보전원서 수컷 1마리 반입

저어새, 낭비둘기 등 멸종위기종 보전사업 지속 수행

서울대공원이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에서 반입한 산양 수컷 1마리의 모습. 서울대공원 제공

서울대공원이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에서 반입한 산양 수컷 1마리의 모습. 서울대공원 제공

서울대공원은 동물원에서 번식한 산양 5마리 중 암컷 새끼 3마리를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으로 반출하고 수컷 1마리를 반입했다고 11일 밝혔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산양을 보전하는 동시에 유전자 다양성을 확보하려는 조치다.

서울대공원은 2022년 11월 말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공동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그해 12월 초 산양 수컷 1마리를 반입했다.

당시 서울동물원에는 산양 암컷 3마리만 있어 종 보전을 위해 수컷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산양 번식에 적절한 사육환경을 조성해 준 결과 2023년 2마리, 2024년 3마리 총 5마리의 산양 번식에 성공했다. 그 결과 현재 서울동물원은 9마리의 산양을 보유하고 있다. 수컷 1마리, 암컷 3마리, 산양 새끼 5마리다.

이번에 반입된 수컷은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에서 번식된 개체로, 현재 동물원 내 수컷이 부족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됐다.

반출된 암컷 새끼 3마리는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북부보전센터로 이관돼 야생 방사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서울동물원은 산양 번식과 사육기술 개발, 혈통관리를 통한 서식지 외 보전 임무를 수행한다.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은 방사 훈련과 야생 방사, 방사 후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지 내 보전 역할을 맡고 있다.

박진순 서울대공원 원장은 “산양 등 토종 멸종위기종 보전은 서울동물원이 나아갈 방향”이라며 “산양뿐 아니라 저어새, 금개구리, 낭비둘기 등 여러 종에 대한 보전사업을 지속 추진해 서식지 외 보전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