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작은 학교 살린다더니···부안 상서중 통폐합 추진에 주민 반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전북 부안교육지원청이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상서초등학교와 상서중학교의 통폐합을 추진하자,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소규모 학교 폐교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지역사회와 학부모 동의 없이 무리하게 추진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상서중 교직원과 동문들은 "상서중 자리에 초·중 통합형 학교를 신설하거나, 최소한 상서중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작은 학교 살린다더니···부안 상서중 통폐합 추진에 주민 반발

교육청, ‘적정규모’ 명분 주민설명회를 열고 통합 방안 제시···주민들 “존치해야”

학령인구 감소로 통폐합이 추진되고 있는 전북 부안 상서중학교 모습.

학령인구 감소로 통폐합이 추진되고 있는 전북 부안 상서중학교 모습.

전북 부안교육지원청이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상서초등학교와 상서중학교의 통폐합을 추진하자,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주민들은 “적정 규모 기준에만 매몰된 일방적 행정”이라며 “결국 폐교 수순”이라고 비판했다.

11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부안교육지원청은 지난 4일 상서초등학교에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전교생 5명인 상서초를 우덕초(17명)와, 6명인 상서중을 부안중(215명)과 각각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교육청은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고, 또래 관계 형성에도 한계가 있다”며 통합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상서중과 부안중 간 통합을 사실상 ‘흡수 통합’으로 보고 있다. 읍내 중심학교로의 편입은 단순한 전학이 아닌, 면 단위 중학교의 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학교가 사라지면 지역 공동체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육청은 상서중을 폐지하고 학생 전원을 부안중으로 편입하는 안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병섭 상서중 동문(55)은 “왜 늘 면 지역 아이들만 읍내로 가야 하느냐”며 “읍내 학생도 면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공동통학구역 제도를 먼저 도입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는 단순한 교육기관이 아니라, 지역의 마지막 안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통폐합 논의가 제도적 기반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현행 중학교 통학구역은 주소에 따라 자동 배정되기 때문에 읍내 학생의 면 지역 진학은 사실상 어렵고, 면 지역 학생은 장거리 통학을 감수해야 한다.

통폐합 찬반 투표에서도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상서초 학부모 5명 중 3명이 반대했고, 찬성은 2명이었다. 그럼에도 교육청은 “주민 의견을 더 듣겠다”며 설명회를 다시 열겠다는 입장이다.

전북도교육청이 수립한 ‘2026~2029년 초·중·고 학생배치계획’을 보면, 도내 전교생 9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는 2024년 31곳에서 2029년에는 71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학교는 2026년 41곳, 2027년 47곳, 2028년 64곳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초등학교도 같은 기간 17곳에서 36곳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폐교도 가속화되고 있다. 올해 3월 기준 도내에서 초등학교 7곳, 중학교 1곳 등 총 8개 학교가 문을 닫았다. 모두 전교생 9명 이하로, 이전부터 통폐합 검토 대상에 포함됐던 학교들이다.

전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소규모 학교 폐교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지역사회와 학부모 동의 없이 무리하게 추진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상서중 교직원과 동문들은 “상서중 자리에 초·중 통합형 학교를 신설하거나, 최소한 상서중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통폐합 논의 이전에 지역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진지한 사회적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