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언론에 나타난 경제심리, 11개월만에 최고…한은 ‘뉴스심리지수’ 상승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경제 뉴스를 바탕으로 가늠한 우리 국민의 경제 심리가 최근 11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인 수준으로 측정됐다.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 등 대외 정세 불안 속에도 뉴스심리지수가 상승세를 나타낸 건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추산하는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지난 15일 기준 1.0으로 비상계엄 직전인 지난해 12월 3일에 가깝게 떨어졌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언론에 나타난 경제심리, 11개월만에 최고…한은 ‘뉴스심리지수’ 상승

국내 정치 불확실성 완화 영향

3년 5개월 만에 코스피가 장중 2900선을 돌파한 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 정효진 기자

3년 5개월 만에 코스피가 장중 2900선을 돌파한 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 정효진 기자

경제 뉴스를 바탕으로 가늠한 우리 국민의 경제 심리가 최근 11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인 수준으로 측정됐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뉴스심리지수는 108.43으로 집계됐다. 하루 전인 12일에는 109.05까지 올라 지난해 7월 11일(110.86)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뉴스심리지수는 한은이 2022년 1월 개발해 매주 공표하는 것으로 경제 분야 언론 기사에 나타난 경제 심리를 지수화한 것이다. 기사에서 표본 문장을 추출한 뒤 각 문장에 있는 긍정, 부정, 중립의 감성을 기계학습으로 분류하고, 긍정과 부정 문장 수의 차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생성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경제 심리가 과거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이 지수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지난해 12월 10일 77.08까지 추락, 화물연대 파업이 이어지던 2022년 12월 2일(77.02)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후 1월 들어 잠시 100선을 회복했으나 미국 관세 인상 우려가 고조됐던 4월 9일 다시 82.83까지 하락했으며, 그 뒤로는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다.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 등 대외 정세 불안 속에도 뉴스심리지수가 상승세를 나타낸 건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추산하는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지난 15일 기준 1.0(일주일 이동평균)으로 비상계엄 직전인 지난해 12월 3일(0.5)에 가깝게 떨어졌다.

코스피가 2900선을 돌파하는 등 국내 증시가 모처럼 활기를 띠는 점, 20조원 이상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논의되는 점 등도 경제 심리 개선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