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재명 랠리’ 코스피 3000 돌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이날 코스피 지수는 8.78포인트 오른 2986.52로 출발한 뒤 오전 장중 3000을 돌파했다.

지수가 장중 3000을 웃돈 것은 지난 2022년 1월3일 이후 3년 5개월여만이다.

코스피 지수는 6·3 대통령 선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재명 랠리’ 코스피 3000 돌파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사진 크게보기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가 3000포인트를 돌파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8.78포인트(0.29%) 오른 2986.52로 출발한 뒤 오전 장중 3000을 돌파했다. 지수가 장중 3000을 웃돈 것은 지난 2022년 1월3일(3010.77) 이후 3년 5개월여만이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는 6·3 대통령 선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와 증시 부양을 강조하는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상법개정 재발의로 기업지배구조 선진화에 나서자외국인 투자자들이 유입된 것도 요인이다.

코스피는 지난 2021년 1월6일 최초로 3000을 돌파한 바 있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코스피 지수가 장중 3000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한수빈 기자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