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SNS에서 인기 폭발한 현대차그룹 주차 로봇 동영상, 사실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홍보나 광고가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주차 로봇이 자동으로 기아 전기차 EV3를 주차해 주는 영상이 최근 글로벌 유력 미디어와 인플루언서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특히 이들 매체는 단순히 흥미를 끌기 위한 AI 쇼츠 영상을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현대차그룹이 실제 보유한 주차 로봇 기술을 함께 소개했다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SNS에서 인기 폭발한 현대차그룹 주차 로봇 동영상, 사실은···

AI 활용해 만든 쇼츠 영상

로봇은 제조 공정에 실제로 쓰여

현대차그룹은 주차 로봇이 기아 전기차 EV3를 주차해 주는 영상이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에서 확산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유튜브 영상을 보면 제법 빠른 속도로 달려오는 기아 전기차 EV3가 270도 회전하며 빈 주차 칸 앞에 정지하더니 단 한 번에 차를 완벽하게 주차한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EV3를 주차한 운전자는 ‘인간’이 아니다. 현대차그룹이 만든 주차 로봇 2대다.

2대의 주차 로봇은 EV3를 주차한 뒤 차이코프스키 ‘꽃의 왈츠’에 맞춰 드리프트와 원돌이를 하며 마치 왈츠를 추는 듯한 움직임도 선보인다. 이는 실제가 아닌 AI가 만든 가상의 움직임이다.

이 영상은 지난해 10월 유튜브를 통해 처음 공개됐는데, 올해 4월부터 조회수가 급증했다. 미국의 유명 소셜 플랫폼 레딧의 ‘사이언스 테크 엔지니어링 월드’ 커뮤니티에 영상이 소개되면서다. 이후 글로벌 미디어 및 인플루언서 채널에서 주요 콘텐츠로 다뤘다.

미국 웹 커뮤니티 레딧에 공유된 현대차그룹 발레 파킹 기술 영상. 현대차그룹 제공

미국 웹 커뮤니티 레딧에 공유된 현대차그룹 발레 파킹 기술 영상. 현대차그룹 제공

이 영상은 현재까지 48곳 이상의 미디어, 커뮤니티 및 SNS 채널에 확산됐으며 집계된 영상 조회수는 580만회에 달한다. 댓글 내용도 호의적이다. 2736건의 댓글 중 약 75%가 긍정적인 반응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전했다.

특히 이들 매체는 단순히 흥미를 끌기 위해 쇼트폼 영상을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현대차그룹이 실제 보유한 주차 로봇 기술을 함께 소개했다.

이 주차 로봇은 영상에서처럼 왈츠를 추거나 드리프트를 하지는 않지만 얇고 넓은 형태로 만들어져 한 쌍이 차량 하부에 들어가 바퀴를 들어올려 차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룹의 부품 계열사인 현대위아가 제작했으며, 두께는 110㎜로 얇고, 라이다 센서를 갖춰 차 아래에서 바퀴의 크기와 위치를 인식해 들어올릴 수 있다.

최고 초속 1.2m의 속도로 최대 2.2t의 차량까지 자동 주차할 수 있으며, 전후좌우로 모두 움직일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와 차량 이동이 가능하다. 이 로봇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싱가포르 혁신센터(HMGICS) 등에서 완성차 제조 공정에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단순히 AI를 통해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기술과 서비스에 AI를 접목해 현실감을 더했기 때문에 영상이 널리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