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과 누적]K팝은 장르가 아니다](https://img.khan.co.kr/news/2025/07/06/l_2025070701000185300016111.jpg)
K는 여전히 대세다. <오징어 게임 3>는 일부 혹평에도 93개국 1위에 올랐다. K의 승전고는 하나 더 있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진)다.
K팝과 관련해 사라지지 않은 오해가 있다. K팝을 장르처럼 다루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 K팝은 음악, 안무, 패션, 강력한 팬덤 기반 비즈니스 등을 더하고 섞은 값이다. 따라서 그것은 종합예술이자 복합적인 음악 사업에 가깝다. K팝이 음악적으로 패턴화된 것은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기본 샘플을 구할 수 있는 사이트를 보면 K팝 카테고리가 따로 있다. K팝이 사운드 면으로 정형화됐음을 의미한다.
K팝이 가져온 큰 변화가 여기에 있다. 소수의 음악가가 창작을 맡은 과거와 달리 K팝은 음악을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블록처럼 하나둘 조립한다. 바탕이 되는 비트 만들기는 대개 북유럽 작곡가의 몫이다. 이 분야 세계 톱이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북유럽은 국가 차원에서 대중음악을 교육한다. 예를 들어 스웨덴에는 초등학교 때부터 프로그램을 깔고 비트를 찍는 정식 수업이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흥행과 함께 이런 목소리가 들린다. “한국산이 아니잖아.” 글쎄. 확언할 수는 없지만 한국이었다면 ‘여자 아이돌이 퇴마사, 저승사자가 남자 아이돌’이라는 설정은 대본 단계에서 거절당했을 확률이 높다. K팝도 마찬가지다. 한국산이 아니라는 이유로 아쉬워할 필요가 없다. 이제 K가 한국임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요컨대 K팝의 생명선은 국적이 아니다. 차라리 ‘K’와 ‘팝’ 사이의 팽팽한 긴장에 있다. 대한민국의 수출 지향, 즉 글로벌이 되고 싶은 욕망의 음악적 소산인 셈이다.
그렇다. K팝의 매력은 바로 이 ‘K’와 ‘(글로벌) 팝’ 사이의 모순과 충돌과 분열에서 비롯한다. 이 모순과 충돌과 분열이 매끈해지는 순간 K팝의 매력은 도리어 증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