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아타 “우주에도 캔버스를”…눈·비바람·흙먼지, 사계가 그린 '자연하다'읽음

김종목 기자

이어령(1933~2022)은 별세 한 달 전인 지난 1월 28일 김아타를 만나 이런 말을 했다. “‘자연하다’는 우주에 늘어놓은 빨래와 같다.” 이 말은 경기 마석 모란미술관 김아타 초대전(19일 개막)에 맞춰 출간한 <자연하다> 중 이어령 구술을 정리한 ‘<김아타자연하다>를 말하다’에 나온다. 이어령은 “허공에 무지개와 같은 줄을 치고, 거기에 청결한 빨래를 한 것과 같은 작품이 걸린다. 무엇이 나타나겠는가? 스스로 그림을 그리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자연에, 바람에 맡기면, 바람이 스쳐 지나가면서 상상할 수 없는 문양들을 만든다”고 했다.

김아타 작가는 2010년 숲에 빈 캔버스를 세우며 ‘자연하다’ 작업에 들어갔다. 모란미술관 재개관 초대전엔 12년 결과물을 내놓았다. 김 작가가 모란미술관 전시장 ‘자연하다’ 연작 앞에서 진행한 촬영 중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김종목 기자

김아타 작가는 2010년 숲에 빈 캔버스를 세우며 ‘자연하다’ 작업에 들어갔다. 모란미술관 재개관 초대전엔 12년 결과물을 내놓았다. 김 작가가 모란미술관 전시장 ‘자연하다’ 연작 앞에서 진행한 촬영 중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김종목 기자

김아타는 12년 동안 캔버스를 지구 곳곳 땅 위, 땅 속, 물 속, 옥상, 광장, 숲에 세웠다. 2년을 자연 현상에 맡겨뒀다. 캔버스 수는 100여 곳 500여 개다. 김아타가 장소를 순례하고, 자연이 캔버스를 순례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비가 수분을 뿌리고, 해가 다시 말리고, 흙먼지와 눈이 뒤덮은 ‘자연이 그린 그림’ 28점을 초대전에 내놓았다. 강원도 인제 원시림과 제주 유채 꽃밭, 칠레 아타카마 사막, 중국 티베트 라싸, 미국 뉴멕시코 인디언 보호구역 등지에서 작업한 것들이다.

지구 곳곳에 세운 캔버스들. 한국 황령산,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숲, 인디아 부다가야 마하보디 대사원, 미국 뉴멕시코 산타페 인디언보호구역(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모란미술관 제공

지구 곳곳에 세운 캔버스들. 한국 황령산,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숲, 인디아 부다가야 마하보디 대사원, 미국 뉴멕시코 산타페 인디언보호구역(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모란미술관 제공

김아타가 ‘지구 차원의 프로젝트’인 ‘자연하다(On nature)’ 작업에 들어간 건 2010년이다. 책 머리말에 “2010년 숲에 빈 캔버스를 세웠다. 먼 길을 돌아 나는 자연으로 돌아왔습니다”라고 썼다. 2000년대 중후반 김아타는 ‘온 에어(On-air)’ 프로젝트로 최고 명성을 누렸다. 세속적 표현으로, 지금도 툭하면 언급되는 ‘빌 게이츠가 작품을 산 그 작가’였다. 2010년 돌연 ‘온 에어’ 작업을 중지하고 자연에 들어간 것이다.

김아타는 “한국과 미국, 독일의 친구들, 한국 갤러리에서 시장에서 도태된다며 (‘자연하다’ 작업을) 하지 말라고 했다. ‘온 에어’가 너무 잘 나가니까 ‘계속 밀고 나가야지’ 하며 말렸다. 미국인 친구 한 명은 거의 울면서 ‘온 에어’를 계속하라며 사정했다”고 말했다. “내 의식이 진화하는 대로 따라왔다. 자신한테 충실해지려 했다”고 말한다.

‘자연하다’ 연작 중 ‘Red Mountain’(부분). 강원도 홍천 포 사격장에서 포를 맞고 발긴 캔버스에 작업했다. 김아타는 “찢긴 캔버스가 너무 처참해 색칠했다”고 말했다. 김종목 기자

‘자연하다’ 연작 중 ‘Red Mountain’(부분). 강원도 홍천 포 사격장에서 포를 맞고 발긴 캔버스에 작업했다. 김아타는 “찢긴 캔버스가 너무 처참해 색칠했다”고 말했다. 김종목 기자

사계가 두 번 돌며 이루어낸 작품은 추상화같다. 눈에 띄는 건 검정과 빨강 유화를 칠한 ‘블랙 마운틴’, ‘레드 마운틴’이다. 강원도 홍천 포 사격장에 설치한 캔버스다. 군 당국 허가를 받는 데만 3년 걸렸다. 포는 캔버스를 갈가리 찢어놓았다. 그는 채색한 이유를 두고 “그대로 가려다 너무 처참했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듣고 다시 보니 붉은색에 덮인 찢어진 캔버스천이 발긴 피부 같다. 언뜻 ‘자연’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의문을 애초 염두에 둔 듯하다. 김아타는 책에 ‘포가 자연입니까’라는 제목의 글을 썼다. “폭력의 역사도 자연이다. 갈등과 야만의 역사도 외면할 수 없는 인간의 역사”라고 했다.

김아타 작가가 ‘자연하다’ 연작 중 ‘Black Mountain’ 작품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김종목 기자

김아타 작가가 ‘자연하다’ 연작 중 ‘Black Mountain’ 작품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김종목 기자

9일 열린 언론 사전 공개행사에서 김아타의 야심 또는 야망도 느꼈다. 우선 ‘글로벌 프로젝트’다. 사진이나 판화처럼 ‘에디션’으로 복제할 수 없는 캔버스 작업이기도 하다. 철학과 미학, 신학을 접목한 사유도 녹여내려는 듯했다. ‘의식과 사유의 진화’ 틀에서 보면, 최근 작품에선 ‘무화’의 경향이 더 짙어졌다. 김아타는 1990년대 ‘뮤지엄 프로젝트’ 같은 작품에서 행위 예술을 하는 나체의 사람들을 프레임에 넣었다. 2000년대 비움과 지움은 시간이 갈수록 깊어졌다. ‘장노출’과 ‘1만 컷의 중첩 이미지’의 대표작 하나인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를 담은 ‘온에어’에선 건물만 남긴 채 행인과 움직이는 것들을 모두 지워버렸다. 2010년대 이후 ‘자연하다’는 건물 같은 구체적 형태마저 없애버렸다.

김아타 ‘자연하다’ 중 인도 부다가야 마하보디 대사원 작업 작품. 모란미술관 제공

김아타 ‘자연하다’ 중 인도 부다가야 마하보디 대사원 작업 작품. 모란미술관 제공

함께 출간한 <자연하다> 책 내용은 어렵다. 미술평론가들과 철학자들은 불교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미학에다 노자 <도덕경>과 하이데거 <예술 작품의 근원>을 거쳐 상대성 이론과 빅뱅 같은 현대 물리학을 끌어들여 김아타를 논한다.

이번 전시는 2010년 ‘자연하다’ 작업에 들어간 이후 첫 개인전이다. 김아타는 관람객들이 ‘자연하다’ 연작에 어떻게 반응할지 걱정하는 듯했다. “세상하고 소통할지, 사람들이 알아줄지 모르잖아요. 사실 아무도 모르잖아요. (지금은) 그게 힘들죠.” 전시작은 ‘2년 동안 자연에 맡겼다’는 개요와 설치 장소만 알면, 그리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 관람객들은 관념과 경험으로 작품에 몰입하고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김아타 작가가 1994년 1월 부산 근교 시골 야산 초입 폐가(마을회관) 작업실 소나무 아래 세운 캔버스. 모란미술관 제공

김아타 작가가 1994년 1월 부산 근교 시골 야산 초입 폐가(마을회관) 작업실 소나무 아래 세운 캔버스. 모란미술관 제공

‘자연하다’ 연작은 억지로 짜낸 ‘프로젝트용 아이디어’는 아니다. 김아타는 1994년 1월 부산 근교 시골 야산 초입 폐가(마을회관)를 작업실로 임대하고는 소나무 아래 캔버스 두 개를 세웠다. 28년 전의 캔버스를 두고 “하얀 캔버스는 귀뚜라미와 잠자리, 비와 구름과 바람의 놀이터가 되었다. 자연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붓질을 했다. 상접했던 시절, 하얀 캔버스는 나의 벗이었다. ‘자연하다’의 어미(母)다”라고 했다. 1994년 설치한 캔버스는 김아타 작업실에 있다.

김아타 ‘홀씨하다’는 미술관 지하 1층 계단 끝에 설치했다. 그는 “우주에서 가장 안전한 비행체는 홀씨”라고 했다. 김종목 기자

김아타 ‘홀씨하다’는 미술관 지하 1층 계단 끝에 설치했다. 그는 “우주에서 가장 안전한 비행체는 홀씨”라고 했다. 김종목 기자

지하 1층 전시장 계단 쪽엔 홀씨를 담아 전시했다. “홀씨가 바람이 부는 대로 정처 없이 날아가는 것 같지만, 완벽한 자연을 따릅니다… 홀씨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나와 당신과 자연하는 모든 것이 그렇습니다”라고 했다.

다시 이어령의 말을 들어보자. 그는 명사 ‘자연’에 접미사 ‘하다’를 붙인 ‘자연하다’ 의미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얼다’에서 얼음이 나왔지, ‘얼음’에서 얼다가 나온 게 아니다. ‘살다’에서 삶이 나왔지, ‘삶’에서 살다가 나오지 않았다. 행위가 먼저라는 말이다.” 김아타는 얼음으로 만든 붓다 설치·사진 작품을 두고 ‘붓다하다’ 같은 말도 만들었다. ‘우주’를 ‘대기권 밖 공간’이란 사전 정의로 이해할 때 이어령의 ‘우주에 늘어놓은 빨래’는 과한 비유인 듯 싶었는데, 김아타는 “우주 공간에도 캔버스를 두려고 한다. 미국 나사 측에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했다.

모란미술관에도 캔버스 설치 작품 ‘모란하다’를 세웠다. 앞으로 2년 간 이 공간에 둔다. 꽃 가지 그늘이 캔버스를 채우기도 한다. 사진 모란미술관 제공

모란미술관에도 캔버스 설치 작품 ‘모란하다’를 세웠다. 앞으로 2년 간 이 공간에 둔다. 꽃 가지 그늘이 캔버스를 채우기도 한다. 사진 모란미술관 제공

모란미술관은 1990년 한국의 첫 조각전문 미술관으로 출발했다. 2020년 30주년 행사를 치른 뒤 휴관하고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김아타 초대전은 재개관 첫 전시다. 김아타는 모란미술관 주변 모란공원묘지 등을 두고 “미술관 자리가 삶과 죽음, 있음과 없음이라는 작품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이 장소가 절묘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온 에어’ 시리즈 중 ‘얼음 붓다’(2003), 인달라 시리즈 중 ‘반야심경’도 전시한다. ‘얼음 붓다’는 모란미술관 내 폐사찰인 백련사 대웅전 수미단 자리에 뒀다.

모란미술관 내 폐사찰인 백련사 대웅전 수미단 자리에 놓인 ‘얼음 붓다’(2003). 맞은 편 마석 송라산 일대가 작품에 비쳤다. 김종목 기자

모란미술관 내 폐사찰인 백련사 대웅전 수미단 자리에 놓인 ‘얼음 붓다’(2003). 맞은 편 마석 송라산 일대가 작품에 비쳤다. 김종목 기자

‘’얼음 붓다‘(2003). 김아타 제공

‘’얼음 붓다‘(2003). 김아타 제공

‘얼음 붓다’가 설치된 모란미술관 내 폐사찰인 백련사. 김종목 기자

‘얼음 붓다’가 설치된 모란미술관 내 폐사찰인 백련사. 김종목 기자

10월10일까지. 7000원.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훈련 지시하는 황선홍 임시 감독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라마단 성월에 죽 나눠주는 봉사자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선박 충돌로 무너진 미국 볼티모어 다리 이스라엘 인질 석방 촉구하는 사람들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