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역대 최대라지만...고물가에 지출은 '찔끔'

반기웅 기자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년 전보다 10.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고용 개선에 따른 취업자 수 증가와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서비스 업황 개선이 영향을 미쳤다. 근로·시장소득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고 이전소득도 늘었다. 1차 추경에 따른 방역지원금과 손실보상금 지급도 가구소득 증가를 이끌었다. 다만 소비자물가가 급등하면서 물가 요인을 제거한 실질 소득 증가율은 6.0%에 그쳤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지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한 해 전에 견줘 10.1% 늘어났다. 1인 가구를 포함한 통계가 작성된 2006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근로소득(10.2%), 사업소득(12.4%), 이전소득(7.9%) 등 재산소득을 제외한 모든 소득원에서 고루 늘었다. 방역지원금과 손실보상금이 포함된 공적이전소득은 9.5% 증가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가구당 취업자 수와 자영업자 수가 증가해 벌어들이는 근로·사업소득의 전체 파이가 커졌다”며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등으로 공적 이전 소득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가계소득 역대 최대라지만...고물가에 지출은 '찔끔'

소득 1분위(하위 20%)의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4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6% 늘었다. 2분위와 3분위, 4분위의 소득 증가율은 각각 10.4%, 9.2%, 4.4%다.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83만3000원으로 11.5% 증가했다. 임시직 취업자가 늘면서 근로소득이 큰 폭(34.2%)으로 개선된데다 공적·기초연금 확대로 공적이전소득(15.9%)이 증가한 영향이다. 공적이전소득의 분위별 소득 증가 기여도는 1분위에서 가장 높았다. 이 과장은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수 증가로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늘었다”고 했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고소득층 증가율을 앞서면서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배율(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배율)은 6.2배로 전년 1분기(6.3배)보다 낮아졌다. 소득 분배 상황이 전보다 나아졌다는 의미다.

소득과 함께 지출도 늘었다. 1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4.7% 증가했다. 음식·숙박(13.9%), 교육(13.5%)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보건 부문(7.5%) 지출도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 상승률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은 0.8% 증가에 그쳤다. 실제 소비는 거의 늘리지 않았는데, 물가가 크게 올라 똑같은 소비를 하고도 지출이 증가했다는 의미다. 실질 소비지출과 차이가 클수록 물가 영향이 많이 받았다는 의미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0.9% 늘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3.1%로 오히려 감소했다. 과일 및 과일 가공품 지출도 2.9%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5.7%였다. 육류 역시 6.8%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2.5%를 기록했다. 교통 부문도 물가 영향이 두드러진다. 교통 부문 지출은 2.8%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6%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유가가 급등하면서 운송기구연료비의 지출 증가율이 17.5%로 가장 컸는데, 실질 소비지출은 -3.5% 감소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를 포함한 1분기 비소비지출은 96만5000원으로 10.5% 증가했다. 특히 소득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인 경상조세 지출(28.3%)이 두드러졌다. 사회보험료 지출도 10.3% 늘었다. 이 과장은 “근로소득이 증가로 소득세가 늘면서 경상조세 지출도 큰 폭으로 늘었다”며 “세금은 누진 성격이 있어 소득이 늘면 세금은 더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출보다 가계 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 수지는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86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 증가했고 흑자액(132만9000원)은 21.7% 올랐다. 소득 증가로 전체 적자가구 비율(23.5%)은 한 해 전에 견줘 1.1%포인트 감소했지만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1분위·57.2%)이었다. 기획재정부는 가계동향조사 결과와 관련해 “1분기 가계동향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됐으나, 향후 개선세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며 “취약계층의 소득지원과 안전망 강화에 재정지원을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Today`s HOT
개전 200일, 침묵시위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황폐해진 칸 유니스 교내에 시위 텐트 친 컬럼비아대학 학생들
아름다운 불도그 선발대회 폭우 내린 중국 광둥성
페트로 아웃 한국에 1-0으로 패한 일본
5연승한 넬리 코르다, 연못에 풍덩! 화려한 의상 입고 자전거 타는 마닐라 주민들 사해 근처 사막에 있는 탄도미사일 잔해 지구의 날 맞아 쓰레기 줍는 봉사자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