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할 적자성 채무가 내년에 9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내년 70% 가량에 이르게 된다. 전문가들은 감세 정책으로 적자성 채무가 빠르게 증가하는 만큼 세입 기반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기획재정부가 4일 국회에 제출한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보면 내년 적자성 채무는 883조4000억원으로 올해 전망치(802조원)보다 81조4000억원(10.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국가채무(1277조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9.2%로 올해(67.1%)보다 높아진다. 내년에 국가채무의 70% 가량은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빚이라는 의미다.
외환·융자금 등 대응 자산이 있어 추가로 재원을 조성하지 않고도 빚을 갚을 수 있는 금융성 채무와 달리, 적자성 채무는 향후 세금 등으로 상환해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가 대표적이다.
내년 일반회계의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 규모는 86조7000억원이다. 당초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상 규모(64조6000억원)보다 늘었다. 올해 대규모 세수 결손으로 내년 세입이 예상보다 낮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금융성 채무는 올해 393조원에서 내년 393조6000억원으로 0.2% 늘어나는 데 그친다. 국가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32.9%에서 내년 30.8%, 2028년에는 27.7%까지 낮아진다.
국고채로 발생하는 이자 지출도 늘어날 전망이다. 내년 공공자금관리기금 국고채 이자는 25조5000억원으로 올해(22조3000억원)보다 14.0% 증가한다. 2026년에는 28조원, 2027년 30조5000억원, 2028년 32조7000억원 등으로 4년간 연평균 10%씩 늘어난다.
국가채무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단기채무 비중은 줄고 있다. 지난해 기준, 잔존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채무 비중은 9.0%로 주요국 평균(23.0%)보다 낮은 수준이다. 잔존만기별 국가채무 비중은 10년 이상(37.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의 감세정책으로 세입 기반이 취약해지면서 적자성 채무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세수를 확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