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도 0.2%↓…무역 손실 영향
올해 2분기 국내 실질 소득이 1분기보다 1.4% 줄었다. 전 분기 대비 2년9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국내총생산(GDP)도 1분기에 비해 0.2% 뒷걸음쳤다. 수출은 늘었지만 민간소비가 여전히 부진했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1분기보다 1.4% 감소한 55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이는 2021년 3분기(-1.1%) 이후 2년9개월 만에 가장 크게 줄어든 수치다. 실질 GNI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도 지난해 2분기(-0.9%) 이후 1년 만이다. 실질 GNI는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한은은 2분기 교역 조건이 악화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실질 무역 손실이 전 분기 11조3000억원에서 2분기 16조6000억원까지 확대됐다.
강창구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2분기 반도체 등의 수출로 많이 벌어들였으나 이보다 수입하는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더 많이 올라 실질 무역 손실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실질 GNI는 1년 전과 비교하면 3.4% 증가했다. 추세적으로는 상승세이지만 올해 2분기 특성상 올 초보다는 구매 여력이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국민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을 의미하는 ‘GDP 디플레이터’는 2분기 4.8%(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2002년 4분기(4.8% 상승) 이후 2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이는 내수 물가 수준의 영향이 아니라 반도체 가격 등 수출품의 물가 수준이 높은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강 부장은 “내수 물가는 2% 초중반으로 크게 높은 수준이 아니지만 반도체 가격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라 교역 조건을 높이고, 전체 GDP 디플레이터를 올리는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잠정치)은 1분기 대비 -0.2%로 집계됐다. 앞서 발표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로, 분기 기준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6개월 만이다.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증가했다. 하지만 원유·천연가스·석유제품 등의 수입이 1.6% 늘어 수출을 크게 넘어섰다. 정부 소비도 0.6% 늘었다.
반대로 민간소비는 승용차·의류 등 재화 소비가 부진해 0.2% 줄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1.2% 축소됐다. 1분기에 3.3% 증가해 ‘깜짝 성장’을 주도한 건설투자도 2분기 들어 1.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