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7월 실업률 ‘4.3%’
11번 경기 침체 맞혔다는
‘샴의 법칙’에 딱 들어맞아
‘4.3%.’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발표된 7월 실업률 수치다. 이는 미국과 한국 등 주요국 증시를 일제히 얼어붙게 만들었다. 11번 경기 침체를 맞혔다는 ‘샴의 법칙(Sahm rule)’에 따르는 숫자였기 때문이다.
샴의 법칙은 경기 침체를 가늠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이다. 최근 3개월 실업률 평균값이 지난 1년 중 최저치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으면 경기 침체로 판단하는 것으로, 2019년 클라우디아 샴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거시이코노미스트가 만들었다. 미국 국립경제연구소(NBER)가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경기 침체는 고용뿐만 아니라 투자, 소비까지 모두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그 전에 샴의 지표로 먼저 경기 침체 증후를 파악할 수 있다. 과거 통계에 기반을 둔 규칙으로 정확도도 높다. 1950년부터 11번의 미국 경기 침체 중 1959년을 제외하고 모두 들어맞았다.
최근 미 고용지표는 수치상 샴의 법칙이 발동된 것이었다. 실제로 7월 발표된 실업률은 4.3%로 예상치(4.1%)와 전월치(4.1%)를 모두 웃돌았다. 이로써 3개월 평균(4.13%)은 이전 12개월 저점 대비 0.53%포인트 높아 샴의 법칙으로는 침체에 들어섰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실업률은 계절적 특성이 반영된 만큼 침체를 단언하긴 힘들다는 분석도 있다. 하나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의 7월 고용지표 부진은 최근 텍사스 등을 강타한 허리케인 베릴로 인한 영향이 반영되며 과장되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윤인구 금융연구원 글로벌경제부장도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8%가 나왔고 민간 소비와 투자 역시 양호한 만큼 고용지표 하나로 침체를 말하긴 이르다”고 했다.
샴 박사는 최근 야후파이낸스 인터뷰에서 침체라고 하기 이르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실업률이 오르고 미국 고용시장이 둔화하는 것은 우려할 만하다”며 “3~6개월 내 경기 침체가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