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전해질 고체화 ‘꿈의 배터리’ 불려…기업들 상용화 박차
잇단 화재로 전기차 공포가 확산하면서 ‘전고체 배터리’를 향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가연성 액체 전해질을 불연성 고체 전해질로 대체한 제품이다. 발화 및 폭발 위험이 거의 없어 업계에선 ‘꿈의 배터리’로 통한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한번 충전으로 더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 충전 시간도 크게 단축돼 상용화에 성공하면 전기차 업계의 판도를 한순간에 바꿔놓을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은 삼성SDI가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SK온은 2029년을 목표로 잡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속도보다는 제대로 된 개발과 품질이 중요하다”며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기로 2030년을 제시했다.
중국과 일본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배터리 기업들도 뛰어든 상태다. 양산 시점 외에 기술 개발 방향과 차별화 포인트 등은 철저히 비밀에 부칠 정도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자동차시민연합 임기상 대표는 “2027년 이후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된다면, 전기차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때 가서야 비로소 본격적인 전기차 대중화 시대가 될 것이란 진단이다.
이는 달리 말해 배터리가 안전하다는 확신을 소비자들에게 주지 못하면 수요 정체나 전기차 공포증이 한동안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과 맞닿는다. 지하 주차를 금지하고, 과충전을 제한하거나 섬을 오가는 여객선에 전기차 선적을 중단하는 식의 대증요법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가 이날 발표한 ‘전기차 안심 점검 서비스’ 실시 방침 등도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어느 정도 달랠 수는 있을지언정, 근본 대책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현대차·기아는 전국 서비스 거점을 방문한 전기차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전기차의 안전과 관련된 총 9개 항목에 대한 무상 점검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 강순근 회장은 “기존 내연기관차를 정비해 사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전기차 구매를 고려했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중고차를 정비해 사용하는 사례가 느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