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코로나19로 주거불안정 심화"

송진식 기자

“주택 관련 대출 받았다” 54%가 응답

이 중 절반이 “대출상환에 어려움 겪어”

42%는 “코로나 확산 이후 소득 줄었다”

국민 10명 중 6명은 주거환경이 불안정하다고 느끼고 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코로나19로 인해 주거불안정이 더 심화됐다고 응답했다. 국민 절반 가량이 주택관련 대출을 받은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월세 등을 감당하기 더 어렵다는 응답이 대다수를 이뤘다.

서울 서초구 상공에서 바라본 도심. 김창길 기자

서울 서초구 상공에서 바라본 도심. 김창길 기자

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토지주택연구원이 올해 9월 6일~9월 17일간 전국 2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9.3%가 “국내 주거환경이 불안정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특히 2030청년세대, 전·월세가구, 실직·저소득층 등에서 주거불안정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주거불안정에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은 전체의 84.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중 “매우 큰 영향을 줬다”는 응답이 25.5%, “다소 영향을 줬다”는 응답이 59.3%를 각각 차지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계 형편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자신 스스로를 “저소득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2.1%로 코로나19 이전(16.5%) 대비 5.6%포인트 늘었다. 반면 “중저소득층”이라는 응답은 같은 기간 62.3%에서 60.3%로, “중고소득층”이라는 응답은 20.1%에서 16.6%로 각각 줄었다. “고소득층”이라는 응답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1.0%에서 이후 0.9%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코로나19 확산 전후 주거안정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 LH제공

코로나19 확산 전후 주거안정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 LH제공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4.8%는 내집마련, 전·월세 부담 등 ‘주택관련 대출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절반 가량인 47.6%는 “대출상환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전체의 52.2%는 “코로나19 이후 월세를 내는게 어려워졌다”고 밝히기도 했다.

응답자의 42.4%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득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고용형태의 변화(실직·이직 등)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명 중 3명(31.3%)꼴이었고,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 중 44.7%는 “실직이나 퇴사했다”고 응답했다.

정기성 LH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양극화가 심화됐고 취약계층의 삶과 주거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주거 양극화 해소를 위해 공공부문의 공익적 역할과 사회 기여를 높여야 하고, 주거와 삶의 질 개선에 초점을 바꾼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Today`s HOT
인도 44일 총선 시작 주유엔 대사와 회담하는 기시다 총리 뼈대만 남은 덴마크 옛 증권거래소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불법 집회
솔로몬제도 총선 실시 인도네시아 루앙 화산 폭발
수상 생존 훈련하는 대만 공군 장병들 시드니 쇼핑몰에 붙어있는 검은 리본
폭우로 침수된 두바이 거리 인도 라마 나바미 축제 한화 류현진 100승 도전 전통 의상 입은 야지디 소녀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