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뒤 지구의 미래가 결정된다고?···COP26이 뭐길래

김한솔 기자

“COP26은 지구 평균 온도를 1.5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우리의 마지막 희망이다. 밝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기회다.”(알록 샤르마 COP26 의장)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가 사흘 뒤에 열린다. 기후변화를 주제로 세계 정상들이 만나는 회의는 여럿 있었지만, 영국 글래스고에서 13일간 열리는 COP26은 2015년 파리 협정이 체결된 이후 열리는 가장 중요한 기후 회의로 꼽힌다. COP26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를 일문일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COP26이란

‘COP’은 ‘Conference of the Parties’의 약자로 ‘당사국 총회’를 뜻한다. 여기서 당사국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된 당사국들을 말한다. 숫자 ‘26’은 회의의 회차다. 코로나19로 회의가 열리지 못한 지난해를 제외하고, 1995년 시작된 이후 매년 열렸다. 즉 올해 26번째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다.

알록 샤마 COP26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알록 샤마 COP26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무엇을 논의하나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인 국가들이 모여 협약의 이행을 검토하고 필요한 결정을 내린다. 주요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합의한 1997년의 ‘교토의정서’, 주요을 넘어 197개국에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고 합의한 2015년 ‘파리협정’은 각각 COP3, COP21에서 체결됐다.

-이번 회의가 왜 중요한가

파리협정의 조약을 ‘구체화’ 하는 회의이기 때문이다. 파리협정에서 전세계가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시기 대비 1.5도 이내로 맞춰야 한다는 ‘큰 방향’에 대해 합의했다면, 이번 회의에서는 협정 체결 뒤 지난 5년 여의 상황을 점검하고 파리협정의 이행을 위한 세부 규칙들이 합의된다. 파리협정이 체결됐던 2015년보다 최근 몇년 간 기후변화가 가속화하고 심각해지고 있다는 공감대가 전세계적으로 형성된 상황에서 열린다.

멸종저항 활동가(Ocean Rebellion)들이 지난 27일(현지시간) COP26 회의가 열리는 클라이드 강 앞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오일 헤드’ 머리한 사람으로 분장하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 라고 쓰여 있는 종이에 불을 붙이고 있다.

멸종저항 활동가(Ocean Rebellion)들이 지난 27일(현지시간) COP26 회의가 열리는 클라이드 강 앞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오일 헤드’ 머리한 사람으로 분장하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 라고 쓰여 있는 종이에 불을 붙이고 있다.

-어디에서 열리고, 몇개국이 참석하나

영국 글래스고에서 이달 31일부터 11월12일까지 2주간 열린다. 총 197개국이 참석하고,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와 연달아 열리면서 대부분의 국가 정상들이 그대로 글래스고로 이동한다. 코로나19 이후 전세계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최대규모 행사인 셈이다.

-주요 안건은 무엇이 될까

먼저 1.5도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각국이 제출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얼마나, 어떻게 감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도상국보다 현재의 기후위기에 대한 책임이 큰 주요국들이 개도국에 지원키로 약속한 1000억달러의 기후금융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다. 주요국들은 2009년 개도국들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20년부터 연 1000억달러의 금융지원을 하기로 했지만, 2019년 기준 200억달러가 덜 지원됐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1000억달러의 기금 증액 시점도 2020년이 아닌 2023년으로 미루기로 하면서, 이에 대한 개도국의 비판적인 목소리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미국 캔자스주 에멧 인근 석탄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기. AP연합뉴스

미국 캔자스주 에멧 인근 석탄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기. AP연합뉴스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파리협정의 6조다. 파리협정은 제6조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가 간 ‘자발적 협력’을 허용하고 있다. 전 지구적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지만, 이 규정을 이용해 일부 국가들에서는 자국 내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은 소극적으로 하고 배출량 측정이 상대적으로 불확실할 수 밖에 없는 국외에 의존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도 2030 NDC 상향안에 ‘국외감축’이 기존 NDC의 2배 이상 늘면서 비판이 쏟아졌다. 그린피스 장다울 정책전문위원은 “이 조항에 ‘시장’이라는 말은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탄소 감축 ‘협력’을 하라고 한 것인데, (이 조항을 통해) 글로벌 탄소 시장을 공고히 구축해 기후위기 대응을 방해하려는 움직임들이 있다”며 “이 조항에 대한 세부 규칙을 정하는 것이 쟁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국외감축’은 탄소감축의 방법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다음달 4일 열리는 ‘에너지’ 분야 회의에서는 화석연료, 특히 석탄과 관련한 선언문이 도출될 지도 주목된다. 다만 탈석탄 선언이 나오더라도, 내용적으로 의미가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후안 파블로 오소르니오 그린피스 인터내셔널 국제기후정치 전문위원은 “탈석탄 선언이 나올 가능성은 높은데, 정유 기업 등이 함께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내용은 약할 것으로 보인다. 또 파리협정의 한 파트로서 선언문이 도출되는게 아니라, 별도의 ‘정치적 선언’에 그친다면 영향은 약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한국은 무엇을 하나

최근 확정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국제사회에 발표하게 된다. 지난 27일 국무회의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배출량 대비 40% 감축하는 NDC 상향안을 확정했다. 한국은 이미 지난해 2030 NDC안을 유엔에 제출했었는데, 그 목표가 너무 낮아 이번에 상향안을 낸 것이다. 하지만 이번 상향안도 불충분하다는 지적이 많다. 자말 루지 세계자원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다시 한 번 더 야심찬 (NDC) 목표로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26일 유엔환경계획(UNEP)에서는 이달 12일까지 파리협정 회원국인 192개국이 제출한 NDC를 평가해보니,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0년 대비 45% 감축해야 하는데, 오히려 16%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탈석탄 선언이 나온다면 어떤 영향이 있나

탈석탄에 대한 압박은 더 강해질 수 밖에 없다. 한국은 더 이상의 해외 석탄 발전소 신규 건설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진행 중인 사업이 있는데다 국내에도 신규 석탄 발전소들을 짓고 있다. 2030 NDC상 2030년에도 여전히 21%의 석탄 발전이 남아있기도 하다. 장다울 위원은 “우리나라가 석탄 발전을 늦게 시작했고 규모가 크고 산업화가 늦었다 하더라도, 2050년까지 탈석탄 정책을 끌고 나가는 것은 국제적인 기후위기대응 차원에서 매우 늦다고 본다”고 말했다.


Today`s HOT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황폐해진 칸 유니스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