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업용수와 농업용수 등의 부족 상황을 알리는 가뭄 예·경보가 2022년 한 해에만 1000회 넘게 발령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12일 공개한 국가가뭄정보통계를 보면, 2022년 가뭄 예·경보는 총 1256회 발령됐다. 강수량에 따른 기상현황(793회) 예·경보가 가장 많았고, 생활·공업용수(254회)나 농업용수(209회) 부족에 따른 예·경보가 뒤를 이었다.
2022년 발령 규모는 2018년 가뭄 예·경보 시스템이 도입된 뒤 가장 많은 수치다. 2019년(714회) 이후 2020년(34회)과 2021년(211회) 다소 감소했다가 2022년 1000회를 넘어섰다.
가뭄 예·경보는 생활·공업용수, 농업용수, 기상현황으로 나눠 발령한다. 가뭄의 정도에 따라 관심(약한 가뭄), 주의(보통 가뭄), 경계(심한 가뭄), 심각(극심한 가뭄)으로 구분한다. 정부는 단계에 맞춰 급수 정책 등을 실시한다.
특히 2022년 가뭄 피해는 전남(2만4839명), 경남(2839명) 등 남부지방에 집중됐다. 강원(7516명) 지역에서 입은 가뭄 피해도 컸다. 가속화되는 기후위기가 가뭄 피해 확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기후재난대응과 관계자는 “2022년 연말 즈음에 가뭄이 시작되면서 피해 규모가 커졌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2월 가뭄 상황은 예년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120% 수준이다.
행안부는 오는 2~4월 기상가뭄은 ‘정상’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과 생활·공업용수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과 용수댐의 저수율 또한 예년보다 139~152%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남 진도, 경남 통영, 인천 중구·옹진군 등 일부 섬 지역은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