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교육 멈춤의 날’인 4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국회박물관 1층에 자녀와 학부모 40여명이 줄지어 있었다. 검은색 상·하의를 맞춰 입은 사람들이 눈에 띄었다. 교사들이 연가·조퇴 등으로 단체행동에 나서자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대신 체험학습 등의 활동을 통해 지지를 보낸 학부모와 아이들이었다.박물관에 온 학부모들은 ‘교권 붕괴’는 교육환경의 구조적 문제라고 했다. 서울 성동구에서 초등 4·6학년 자녀와 이곳을 찾은 정모씨(41)는 “교권 하락은 구조적 문제인데 선생님들에게만 책임을 강요하는 느낌이 들어 답답했다”며 “교권도 인권에 포함되는데 인권이 법으로 보호되고 있다는 걸 자녀에게 알려주고 싶었다. 오후에는 인권위원회에 가볼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아이가 선생님과 함께 학습하고 성장하는 법을 배우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경기 파주에서 초등학생 남매와 함께 온 임모씨(44)는 “친한 친구 가족이 초등학교 교사인데 정신과에 다니려고...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