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0
-
한국 작가 최초 노벨문학상 받은 한강은 누구?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는 1970년 광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원로 소설가 한승원씨다.한 작가는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이 벌어지기 몇 달 전 가족과 함께 서울로 올라왔다. 이후 풍문여고를 거쳐 연세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3년 잡지 ‘샘터’에서 기자로 근무하기도 했다.한 작가는 시인으로 출발했다. 1993년 계간 문학과사회에 시 ‘서울의 겨울’ 등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이듬해에는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붉은 닻’이 당선되며 소설가로도 데뷔했다. 이후 한 작가의 소설에 남은 시적인 문체는 시인으로서의 흔적으로도 보인다. 1995년 첫 번째 소설집 <여수의 사랑>을 냈다. “삶의 본질적인 외로움과 고단함을 섬세하게 살피며 존재의 상실과 방황”(문학평론가 강계숙)을 그렸다는 평을 받았다.한 작가가 본격적으로 세계 문학계에 이름을 알린 것은 2007년 연작소설집 <채식주의자> 출간 이후였다. 육식을 거부하며 가족들과 갈등... -
노벨 문학상에 소설가 한강…한국 작가 최초 쾌거
한강 작가가 한국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국인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2000년 평화상을 받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스웨덴 한림원은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 작가를 선정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한림원은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는 점을 선정 이유로 꼽았다. 한림원은 이어 “그는 육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연결에 대해 독특한 인식을 지니며, 시적이고 실험적인 문체로 현대 산문의 혁신가가 됐다”고 부연했다.한림원은 이날 한 작가에게 수상 사실을 알리기 위해 전화로 통화한 영상을 공개했다. 이 인터뷰 영상에서 한 작가는 “다른 이가 소식을 전해줘서 수상 소식을 알았다”며 “정말 놀랍고 영광스럽다”고 밝혔다. 한 작가는 수상 소식이 날아들 당시 아들과 식사 중이었다며, 아들 역시 몹시 놀... -
한강 노벨문학상 소식에 시민들 “한국 최초 문학상 수상 벅차올라”
한강 작가(53)의 노벨 문학상 수상 선정 소식에 시민들의 축하가 쏟아졌다. 시민들은 “한국 최초 문학상을 한강이 받아 기쁘다” “여성으로서 많은 힘이 된다” 등 반응을 보였다.한 작가의 수상 선정 소식이 전해진 10일 시민들은 먼저 놀라움을 금치 못하며 축하 인사를 전했다.서울 동대문구에 사는 조모씨(27)는 “해외에서 대학을 다니며 한국 현대문학 수업을 들을 때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접했다. 소설이 담고 있는 가부장제 등 사회문화적 맥락이 외국인 친구에게도 와닿는 것을 보며 인상 깊었다”며 “수상 소식을 듣고 너무 반가웠고 한국 최초 문학상이라는 타이틀을 한강이 가지게 돼 기쁜 마음”이라고 말했다.소설 <소년이 온다>를 감명 깊게 읽었다고 밝힌 정다인씨(27)도 “한국에서는 나오지 않을 일이라 생각했는데 놀랍다. 너무 기쁘다”라며 “5·18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무거운 소재를 읽기 쉽게 다루면서도 무게감을 잃지 않은 게 너무 좋았다고 생각했다”고... -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에 윤 대통령 “위대한 업적, 국가적 경사”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두고 “대한민국 문학사상 위대한 업적이자 온 국민이 기뻐할 국가적 경사”라며 축하를 보냈다.윤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는 한림원의 선정 사유처럼, 작가님께서는 우리 현대사의 아픈 상처를 위대한 문학작품으로 승화시켰다”며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고 적었다.여야 정치권도 한 목소리로 축하를 보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SNS에 “우리 국민에게 큰 기쁨과 자긍심을 안겨줬다”며 “역사는 개인의 삶으로 들어온다. 우리는 한강 작가를 통해 그 사실을,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을 다시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SNS에 “한강 작가님을 책이 아니라 오래 전 EBS 오디오북의 진행자로서 처음 접했다”면서 “오늘 기분 좋게 작가님이 진행하는 EBS 오디오북 파일을 들어야겠다. 이런 날도 오는군요”라고 적었다.이... -
한강 노벨 문학상 수상에 광주시민들 “광주인이라 울컥했다”
소설가 한강이 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광주시민들은 소셜미디어에서 특별한 환영 메시지를 내놨다. 작가가 광주 출신이며, 대표작 중 하나인 <소년이 온다>가 1980년 광주민중항쟁을 소재로 했기 때문이다.10일 소셜미디어 엑스(구 트위터)에 한 광주시민(땅땅미)은 “광주인이라 그런가 이거 보고 좀 울컥했다”며 “진심으로 축하드리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광주시민(두구두구)은 “상은 한강 작가가 받았는데 내가 이렇게 기쁘고 감격스러울 수가. 같은 여자고 광주 출신이라 그런가”라고 말했다.광주시민 윤중길씨는 이날 페이스북에 “한강 작가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등 책을 집필한 장흥이 고향인 한승원 소설가의 딸이고, <채식주의자>와 5·18민중항쟁을 다룬 <소년이 온다>를 집필, 광주 중흥동에서 태어나 효동 초등학교를 다니다 서울로 전학 간 ‘광주의 딸’이다”면서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밝혔다.광주시민으... -
한강 노벨문학상 소식에 국감장도 들썩···“크게 박수 한 번 칩시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지자 10일 국회에서 국정감사를 하던 여야 의원들도 박수를 보내며 축하했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들은 이날 저녁 국회에서 국정감사를 하던 도중 한강 작가의 수상 소식이 전해지자 여야할 것 없이 박수로 축하를 보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고 하자 문체위원장인 전재수 민주당 의원이 “제가 말씀드리려고 하고 있다”고 답했다.전 의원은 이어 “정말로 반가운 소식을 국민들과 함께 해야겠다”며 “국감 진행 중에 2024년도 노벨문학상에 한국 작가 최초로 소설가 한강씨가 노벨문학상을 수상을 했다는 반갑고 정말 좋은 소식이 뉴스 속보로 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인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평화상에 이어서 한국 작가 최초이자 대한민국 문학계의 쾌거”라며 “크게 박수 한 번 치자”고 말했다. 문체위 국감장은 박수 소리로 가득 찼다.전 의원은 “앞으로 노벨평화상, 노벨문학상... -
외신 “한강 작가 ‘채식주의자’로 유명…폭력·인간성 탐구”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식을 10일(현지시간) 여러 외신도 일제히 타전했다. 해외 언론들은 한강 작가의 ‘깜짝’ 수상과 더불어 그의 작품 세계, 과거 인터뷰, 비서구·여성 수상자인 점 등에 주목했다.먼저 한강 작가의 수상이 예상 밖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미 뉴욕타임스는 “‘채식주의자’로 잘 알려진 한국 작가 한강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며 “그의 수상은 놀라운 일이었다”고 전했다. 수상자 발표 전까지 거론되던 후보군에 한강 작가의 이름이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는 것이다.한강 작가의 작품 세계를 소개한 보도도 이어졌다. 영국 가디언은 “그의 소설, 단편 소설, 에세이 등은 가부장제, 폭력, 슬픔,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다양하게 탐구했다”고 평가했다.영국 인디펜던트는 수상 소식에 더해 한강 작가와 지난해 5월 진행했던 인터뷰 기사를 링크했다. 그러면서 당시 한강 작가가 “언어는 내가 정말로 익히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양날의 검과 같았다”고 말했던 대목을 인용했... -
노벨문학상에 소설가 한강
스웨덴 한림원은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 작가를 선정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한국인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지난 2000년 평화상을 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다. 한강 작가의 수상으로 한국은 노벨 문학상 수상의 첫 쾌거를 얻었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4000만원)와 메달, 증서가 수여된다.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을 쓴 점을 선정 이유로 꼽았다. 한림원은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라는 점을 선정 이유로 꼽았다. 한림원은 “신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오늘날 산문의 혁신을 일궈냈다”라고도 했다.1970년 11월에 태어난 한 작가는 연세대 국문과를 졸업한 뒤 1993년 ‘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