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은 인공지능(AI)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765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57.3%(438명)가 AI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을 넘어선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응답자 23.7%는 ‘위험과 이점이 반반이다’라고 답했다. 19.1%는 ‘잠재적 위험이 이점보다 크다’고 봤다.
‘AI의 잠재적 이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30.6%(복수 응답)가 ‘일상생활의 편의성 향상’을 꼽았다. 19.6%는 ‘업무 추진의 효율성 증진’을 들었다.
AI의 잠재적 위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18.5%가 ‘오작동 발생으로 인한 피해’라고 답했다. 18.3%는 ‘악의적 의도로 AI 활용에 따른 피해’를 골랐다.
응답자 55.2%는 안전한 AI 발전을 위해서 규제보다 혁신이 중요하다고 봤다. 28.9%는 규제가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나머지 15.9%는 규제와 혁신이 둘 다 중요하다고 했다.
가장 중요한 정부 정책으로 ‘인공지능법 제정 및 윤리기준 마련’(34.6%)이 꼽혔다. 이어 AI 연구·개발·사용을 위한 국가 마스터플랜 마련(18.8%), 주요 국가·국제기구와 협력해 AI 표준화 등의 국제규범 마련(17.4%), AI 개발인력 양성(14.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발표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후속 조치로, 6~7월 ‘디지털 공론장’ 홈페이지에서 진행됐다. 앞으로 디지털 접근성 강화,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대응,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을 주제로 공론화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