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고’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지옥고라 불리며 한국 사회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대표하는 곳들이다.
그중에서도 반지하는 영화 <기생충>이 화제가 되기 전까지만 해도 사회적 관심을 받지 못했던 주거공간이다. 지상에 있는 옥탑방과 고시원의 열악함은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지만, 반지하는 겉으로 보기에 그럴듯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햇볕이 들지 않아 집 안은 한낮에도 어두컴컴하다. 습기로 벽지는 얼룩지고 눅눅한 곰팡이 냄새가 나는데도 행여 지나가는 행인이 들여다볼까 창문조차 열지 못한다. 직접 들어가 경험해보지 않고는 이런 문제를 느끼기 어렵다.
반지하의 시작은 1970년대 방공호였다. 언제 전쟁이 발발할지 모르는 남북 분단상황에서 대피소로 활용하기 위해 지하 주거층을 허용했다. 이는 급격한 도시화와 맞물렸다.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드는 사람들로 주택 공급이 부족해지자 지하 1층도 주거용으로 허용하는 등 건축규제가 완화됐다. 지하 주거공간은 빠르게 늘어갔다.
‘현실판 기택네’는 우리 주변에 얼마나 많을까.
경향신문은 한국도시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반지하 거주 현황과 실태’를 살펴봤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반지하는 36만3896가구나 됐다. 옥탑방(5만3832가구)보다 7배 이상, 고시원(15만1553가구)보다 2배 이상 많은 규모다. 반지하에 살고있는 사람은 68만8999명에 이른다.
1
우리 동네 검색
우리 동네에는 반지하가 얼마나 있나
- 읍·면·동 단위
- 국회의원 선거구 단위
거주지역을 선택하시면
해당 지역의 반지하 거주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조사)
※ 2010년 통계로 행정구역과 지명이 지금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지역구를 선택하시면
해당 지역구의 반지하 거주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조사)
※ 2010년 통계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읍면동별 선거구 현황 자료(2020)를 활용해 정리했습니다.
지역을 선택해주세요
경기도 고양시를(을) 선택하셨습니다.
이 지역에는 351495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그 중 반지하에 사는 이웃은 6,279가구입니다.
이는 이 지역 전체 가구의 1.8%에 해당하는 비율입니다.
<기생충> 속 기택네가 영화에 나오는 허구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영화는 우리 사회에 엄연히 존재하지만 ‘투명인간’ 취급을 받아온 지하 거주민을 세상 밖으로 불러냈다. 한 주거복지 전문가는 <기생충>을 “지하와 빈부격차에 대한 사회학 보고서”라고 평했다.
반지하에 세상의 관심이 쏟아질 때도 있었다. 태풍이나 폭우로 수차례 침수 피해를 입었을 때, 선거를 앞두고 서민의 삶을 들여다본다며 악수를 청하는 국회의원들의 배경이 됐을 때였다.
그나마 이번 총선을 앞두고는 그런 ‘이벤트’도 없다. 자신이 출마한 지역구 곳곳을 돌며 도시 빈곤가구의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약속한 국회의원 후보자들은 거의 없다. 앞서 일부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에 반지하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없어 개선 노력을 기울일 수 없다고도 했다. 현실을 알지 못하는데, 개선은 가능한 것일까.
경향신문이 전국 읍·면·동별 반지하 거주 현황을 최초로 공개하면서, 이를 국회의원의 지역구 단위로 재구성해 봤다. 해당 자료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조사 토대로 정리했다.
2
전국 반지하 현황
전국에 반지하 가구는 36만가구가 넘는다.
이중 대부분인 95.8%, 34만8782가구가 수도권에 밀집돼 있다. 서울은 22만8467가구, 경기도는 9만9291가구, 인천은 2만1024가구가 반지하에 살고 있다.
가구가 아닌 인구 수 개념으로 따지면 반지하에 거주하는 전국 68만8999명 중 65만9747명이 수도권에 거주한다.
0가구1가구~30가구31가구~100가구101가구~1,000가구1,001가구~3,182가구
지역별로 살펴보자.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하가구 수에 따라 각 읍·면·동들의 색을 표시했다. 색깔이 진할수록 해당 지역에 반지하 거주 가구가 많다는 의미인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색이 짙고 수도권 이외 지역의 색은 옅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확연히 드러난다.
- 수도권(서울·경기·인천)
- 지자체 전체
막대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리면 지자체별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반지하가구반지하 1인가구
고양시
전체 가구 135가구
반지하 가구 135가구
반지하 1인 가구 135가구
반지하 가구 비율 135%
전국 229개 지자체별로 보면 경기 성남시가 2만5683가구로 반지하 가구수가 가장 많았다. 전체 가구 중 반지하 비율은 서울 중랑구가 11.3%로 가장 높았다. 주민 100명 중 11명이 반지하에 살고 있는 것이다.
수도권에 유독 반지하 거주 가구가 많은 까닭은 무엇일까. 앞서 언급된 급격한 도시화라는 역사적 이유에 더해 좀 더 현실적으로는 높은 주거비와도 연관이 있다.
국토연구원이 2019년 2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임차가구가 부담하는 주거비는 월평균 68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서울에 사는 세입자는 매달 평균 76만9000원을 부담하고 있다.
그에 반해 소득은 평균에 크게 못 미친다. 2018년 기준 서울 지역 반지하 가구가 매달 일정적으로 벌어들이는 경상소득은 평균 219만원*에 불과했다. 도시노동자 월평균 소득은 540만1814원(3인 이하 가구 기준)으로, 반지하 가구 소득은 이보다 60%가량 적은 수준이다.
* 국토교통부의 2018년 주거실태조사자료를 토대로 한국도시연구소가 추출
도시 근로자 및 서울시 반지하 가구의 평균 월 소득
서울 지역의 월 평균 주거비는 76만9000원. 반지하 거주 가구 한달 소득의 3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높은 주거비를 감당할 수 없는 도시 빈곤가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밑으로’ 내려가는 것이다.
서울시 반지하(및 지하) 거주가구의 월 소득
반지하 10가구 중 9가구는 전·월세로 세들어 사는 세입자였다. 그 중에서도 보증금을 걸고 매월 임대료를 내는 보증부 월세가 53.6% (11만8609가구)로 가장 많았다. 반지하 거주 가구의 전·월세 보증금은 평균 3130만원이었으며 월세는 평균 34만원이었다.
반지하 가구 중 81.8%는 주거비가 부담스럽다고 답했으며, 33.5%는 ‘매우 부담스럽다’고 했다. 이는 다른 주택유형을 포함한 전체 가구(17.1%)에서보다 2배가량 높은 비율이다.
반지하는 아이를 키우는 빈곤 가구가 선택할 수 있는 최후의 보루이기도 하다. 서울시가 지난해 조사한 ‘아동 주거빈곤 가구 주거실태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61.6%가 반지하에 살고 있었다.
“데이터를 보면 반지하는 옥탑이나 고시원에 비해 특히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지방에서는 조금만 여유가 있어도 거기까지는 안 산다. 높은 주거비와 연계가 되는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도시 빈곤층이 살 수 있는 주택이 반지하밖에 없다는 의미다.”
- 한국도시연구소 최은영 소장
3
서울에선 어디에 반지하가 많을까
전체 100가구 중 6가구가 반지하에 사는 서울
서울로만 시야를 좁혀 보자.
서울에는 전체 100가구 중 6가구가 반지하에 산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표본조사)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의 평균 반지하 거주 비율은 약 6%다. 서울시의 100가구 중 6가구는 반지하에 거주하는 셈이다.
어느 지역에 반지하가 많을까. 서울에서도 반지하 가구 비율은 구별로 편차가 크다. 중랑구는 반지하 가구 비율이 11.3%(1만7839가구)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반지하 가구 비율이 가장 높다. 반지하 가구 비율이 가장 낮은 노원구(2.2%, 4483가구)보다 5배 이상 차이가 난다.
지역별 차이가 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구별 저소득노인 가구 비율과 한부모가구 비율 등을 교차로 확인해 봤다.
서울시 안에서도 저소득노인가구가 많거나 한부모가구가 많은 지역(강북구·중랑구·광진구·은평구·금천구)에서 반지하 가구의 비율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빈곤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반지하 가구의 비율이 높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저소득층 노인 가구와 한부모 가구가 많은 노원구와 강서구는 왜 다른 지역과 달리 반지하 가구 비율이 낮았을까. 노원구와 강서구는 반지하 가구 비율이 2.2%와 4.3%로 서울시 전체 평균인 6%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막대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리면 구별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지역임대주택현황(구별), 2017년 / SH공사 및 LH공사 총계
고양시
임대아파트 공급량 135호
그 이유는 임대아파트 공급에서 찾을 수 있었다. 강서구는 임대 아파트 공급이 3만1952가구로 서울시 전체 중 공급량이 가장 많았으며 노원구는 2만6684가구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곧 반지하 거주가구의 감소로 이어졌다. 임대아파트 등 빈곤가구가 입주할 수 있는 대체 주거공간이 공급되면 반지하 비율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