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나서면서 촉발된 의료 대란이 200일을 넘어섰다. 응급 환자들이 병원의 수용 불가 통보로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이 사례가 급증하는 가운데 응급의료 체계가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경향신문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전공의 이탈이 시작된 지난 2월20일부터 이달 24일까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전말이 알려진 ‘응급실 뺑뺑이’ 사례 34건을 분석해 본 결과 신고 이후 응급실에 도착해 최초 처치를 받기까지 1시간32분이 걸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 사이 응급환자들은 평균 14.7회 이송거절을 당했다. 상당수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 헤메느라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의미다. 환자 13명은 결국 사망했는데 이중 3명은 10대 미만이었다. 이송 시간이나 거절횟수가 알려지지 않은 사건은 계산에서 제외했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보면 환자들은 충북 청주에서 서울로, 강원 양구에서 강릉으로, 경남 함안에서 대구로 100km가 넘는 거리를 응급실을 찾아 이동했다. 겨우 응급실에 도착하더라도 수술에 불가해 큰 병원을 찾는 도중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병명은 골절, 추락, 교통사고 등 외상에서부터 의식저하, 뇌졸중, 대동막박리 등 중중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나이별로는 60대가 8명으로 가장 많았다. 10세 미만도 3명이나 됐다.
추석 연휴 중이었던 지난 17일 오전 2시15분 부산 영도구 동삼동에선 의식 장애와 구토 증세를 보이던 30대 여성 A씨는 병원 92곳으로부터 진료를 거부 당한 끝에 4시간10분 만에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119구조대 출동 당시 이미 A 씨 상태는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레벨 1단계’(중증도가 가장 높은 단계)였지만 전원할 병원을 찾다가 3차례 심정지 끝에 사망했다.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실 환자 내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7월 응급실을 찾은 환자 수는 17% 가량 줄었지만, 응급환자 1000명당 사망률은 6.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7명보다 높아졌다. 응급실을 찾아 헤맨 환자를 일부 추정할 수 있는 1000명 당 전원 환자 비율도 16.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6명보다 0.9명 늘었다.
소방청이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실에 제출한 ‘119구급대 재이송 건수 및 사유’ 자료를 보면 병원으로부터 2회 이송을 거부당한 횟수가 2023년에는 전체 84건이었던 반면, 올해는 8월20일까지 벌써 121건에 달했다. 3회 거부도 17건, 4회 거부도 23건으로 2023년의 해당 건수를 이미 넘어섰다. 1~4회 재이송 건수를 합하면 3597건으로, 2023년 전체 재이송 건수 4227건에 벌써 근접했다. 응급실 뺑뺑이를 현장에서 체감하는 119 구급대원들은 구급대원에게 이송 병원을 강제로 선정할 권한을 부여하는 등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현재 정부에서는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사망 사례를 별도로 집계하지는 않고 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지난 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응급의료 상황에 관해 설명하면서 “정치권에서 사망이 늘었다고 하는 주장과 숫자가 있는데, 정확하게 응급실에서 이송이 늦거나 또는 미수용 사례로 인해 사망했는지는 통계를 집계하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 발생 지점은 정확히 알 수 없어 시도 혹은 시군구 행정구역 단위로 표시했습니다. 데이터 역시 전체 사건 중 일부분인 언론보도 사례만 추출한 것이므로, 대략의 발생 패턴을 보는 용도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응급실 대란과 관련한 제보사항이나 추가 의견이 있으면 kjh0516@khan.kr으로 메일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