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예방의 달

아는 것이 힘…늘 걱정되는 ‘유방암’ 대비법

헬스경향 장인선 기자

자가검진 실천…생리 시작 일주일 후 가장 좋아
멍울, 유두 주변 피부변화, 분비물 등 위험신호
40세 이후엔 국가검진 꼭…치밀유방은 추가검사

유방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만큼 평소 자가검진을 실천하고 만40세 이후에는 2년마다 국가검진을 꼭 받아야 한다. 가족력 등 위험요인이 있다면 이보다 일찍 정기검진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유방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만큼 평소 자가검진을 실천하고 만40세 이후에는 2년마다 국가검진을 꼭 받아야 한다. 가족력 등 위험요인이 있다면 이보다 일찍 정기검진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유방암은 여성암 발생 1위로 늘 여성들의 마음 한 켠에는 이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한다. 하지만 막상 언제 검진받아야 하는지, 어떨 때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하는지 몰라 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유방암은 종류별로 예후가 다르지만 조기 발견해 치료하면 예후가 좋은 암이다. 다만 다른 암처럼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유방암의 올바른 대비법을 짚어봤다.

■호르몬 노출기간 길수록 위험도↑

유방암의 원인으로는 호르몬, 식이, 비만, 유전, 환경적요인 등 여러 가지가 거론된다. 이 중 현재까지 가장 연관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호르몬이다. 평생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 노출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유방외과 선우영 교수는 “이른 초경(초등학교 5학년 이전에 생리 시작), 늦은 폐경(55세 이후 폐경이 되는 경우)은 그만큼 에스트로겐 노출기간이 길어 위험인자로 작용한다”며 “폐경 후에는 더 이상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이 나오진 않지만 복부지방에서 안드로스테네디온이라고 하는 성분이 여성호르몬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가족력도 중요하다. 직계 가족 중 유방암환자가 있을 경우, 젊었을 때 발병한 경우, 엄마보다는 자매가 유방암일 경우 유방암위험도가 더 높다고 알려졌다.

■치밀유방이라면 추가검사로 정확히 확인

20~30대 젊은층에서도 유방암환자가 늘고 있지만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군은 40대로 보고됐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만40세 여성부터 2년마다 한 번씩 유방암 국가검진의 일환으로 유방촬영술을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 상당수는 치밀유방에 해당, 유방촬영술로는 종양이 정확히 안 보일 수 있다고 알려져 여성들의 불안감이 크다.

유방촬영술은 검진결과에 따라 ▲이상소견없음 ▲양성질환(이상소견이 있으나 유방암과 관련이 없어 추가검사가 필요없음) ▲유방암의심 (유방암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있어 즉시 정밀검사가 필요함) ▲판정유보(촬영이미지만으로는 판정이 곤란한 상태로 재촬영이 필요하거나 이상소견이 있어 추가검사 또는 이전검사와의 비교가 필요함)로 구분되는데 치밀유방(실질조직의 양은 많은 데 비해 지방조직의 양이 적은 경우)은 종양이 유방조직에 가려 잘 안 보여 판정유보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유방초음파 또는 혈액검사 등 다른 방식의 추가검사를 받아볼 수 있다. 유방초음파는 치밀유방에서도 민감도가 높아 유방촬영술로 발견하기 어려운 유방암 병변을 찾을 수 있다.

혈액검사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 국내에는 미량의 혈액만으로 0~2기 조기유방암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증, 이를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에서는 혈액검사로 유방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임상연구결과 유방X선촬영술과 병행 시 치밀유방에서의 민감도(양성판별률)는 93.0%로 유방X선촬영술을 단독 시행(민감도 59.2%)했을 때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두 주변 피부변화, 분비물 시엔 의심

40세 이전부터는 유방 자가검진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 일산백병원 외과 김재일 교수는 “특히 생리 시작 일주일 후가 유방이 가장 부드러운 시기로 이때 자가검진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자가검진방법은 ▲거울 앞에서 관찰하기 ▲서거나 앉아서 촉진하기 ▲누워서 촉진하기 등 총 3단계(하단 참고)로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자가검진했을 때 멍울이 만져지거나 멍울 주변의 피부가 변하면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유방외과 송병주 교수는 “물론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많은 20~30대 여성은 섬유선종, 즉 양성종양이 많이 생겨 무조건 암이라고 판단할 순 없다”며 “하지만 양성종양이라도 6개월~1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초음파검사를 통해 종양 크기와 모양의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멍울 주변 피부가 보조개처럼 들어가거나 귤껍질처럼 변한 것도 위험신호다. 또 유두 근처에 멍울이 있고 붉거나 검붉은 빛깔의 유두분비물이 나온다면 빨리 유방외과의 진료를 통해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자가검진의 중요성을 고려해 한국유방암학회에서는 ▲30세 이후에는 매월 거울 앞에서 유방 자가검진을 하고 ▲35세 이후에는 2년 간격으로 의사에 의한 임상검진을 ▲40세 이후에는 1~2년마다 유방촬영술을 권고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국가검진 권고연령보다 이른 30세 이상부터 매년 전문가에게 검진받는 것이 좋다.

■비만 주요 위험인자…식이조절 등도 신경써야

자가검진 및 정기검진과 더불어 식습관 등 생활습관개선도 중요하다. 특히 비만은 유방암의 주요 위험인자이자 중증도를 높이는 원인이라고 알려졌다. 유방암 위험도가 올라가는 중년기 이후부터는 식이조절과 함께 본인이 소화할 수 있는 운동을 정해 일주일에 5회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TIP. 유방암 자가진단법 3단계

<1단계> 거울 앞에서 관찰하기

1. 거울 앞에 서서 양팔을 모두 내린 상태로 양쪽 유방을 관찰한다.
2. 거울 앞에 서서 양손을 머리 뒤로 올려 깍지를 끼고 팔에 힘을 주면서 가슴을 앞으로 내밀어 유방의 모양을 관찰한다.
3. 양손을 허리에 짚고 거울을 향해 팔과 어깨를 앞으로 내밀면서 고개를 숙여 유방을 관찰한다.

<2단계> 앉거나 서서 촉진하기

1. 왼쪽 팔을 들고 오른손 손가락 끝으로 왼쪽 유방을 힘있게 눌러 멍울이 있는지 찾아본다(반대쪽 유방도 똑같이 시행)
2. 유방 바깥쪽 상단 부위에서 원을 그려가며 촉진한다. 유두 주변까지 작은 원을 그리며 만져본다.
3. 유두를 위아래와 양옆에서 짜보고 진물이나 핏빛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3단계> 누워서 촉진하기

편한 상태로 누워서 2단계의 방법을 동일하게 시행한다.


Today`s HOT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교내에 시위 텐트 친 컬럼비아대학 학생들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황폐해진 칸 유니스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