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성장곡선 정상일까
자라나는 아이에겐 성장의 ‘속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 속도가 너무 빨라 도리어 성장곡선의 균형이 깨지는 ‘성조숙증’은 물론, 성장이 더딘 ‘저신장증’도 아이와 양육자의 걱정을 키울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한때의 성장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거나 하는 차이는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원하는 만큼의 성장이 이뤄지지 못한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아이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키를 키우는 치료 대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집중해 아이가 가진 원래의 잠재능력과 자신감을 찾도록 돕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또래 연령보다 2차 성징이 조기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성조숙증은 ‘조발 사춘기’라고도 부른다. 여아는 8~9세 사이, 남아는 9~10세 사이에 사춘기가 시작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특히 여아의 사춘기 시작 시기가 빨라지는 추세는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조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높다. 조자향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육식 위주의 서구식 식단과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섭취가 성조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이러한 음식을 과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환경호르몬이나 내분비 교란 물질에 노출될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빠르게 사춘기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조숙증
2차 성징 조기 나타나 ‘조발 사춘기’
장기적으로는 키 성장에 악영향 줘
3~4주 간격 성호르몬 억제제 주사
성조숙증을 의심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신체의 변화로는 8세 이전 여아가 유방 발육이 진행되거나, 9세 이전 남아가 고환이 커지는 현상을 보일 때를 들 수 있다. 키 성장 속도도 또래 어린이보다 지나치게 빠를 수 있다. 집에서 유방이나 고환 발육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지만 만일 여의치 않은 환경이라면 또래 연령 대비 아이의 성장 속도를 확인해 보고 병원을 찾는 것도 좋다.
성조숙증은 성호르몬이 분비돼 작용하는지를 기준으로 진성과 가성으로 나눈다. 진성 성조숙증은 활성화된 뇌하수체-시상하부에서 난소나 고환을 자극해 성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면서 발생한다. 이 경우 중추신경계의 종양이나 뇌염 등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다. 반면 가성 성조숙증은 난소나 고환의 성호르몬 분비가 아니라 다른 원인 때문에 성조숙이 발생하는 경우다.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난소 낭종, 멕큔올브라이트증후군 등 질환이 해당되는데, 진단을 위해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나 복부·골반·고환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고 신속히 치료해야 한다.
2차 성징이 나타난 시기와 진행 속도 등을 바탕으로 성조숙증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아이의 현재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성조숙증은 장기적으로 키 성장에 악영향을 준다. 어린 나이에 사춘기가 일찍 시작되면 처음엔 잘 크는 것 같지만, 뼈의 나이인 골연령도 급격히 증가하므로 성인이 된 후엔 사춘기를 정상적으로 맞은 아이보다 키가 작을 수 있다. 심리적으로도 또래와 다른 성장 속도 때문에 아이가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다. 이 밖에 일찍 분비되기 시작한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유방암, 난소암 등이 발생할 위험도 높아질 수 있다.
특별한 원인질환이 없다면 3~4주 간격으로 성호르몬 억제제 주사를 맞는 치료를 꾸준히 받으면 된다. 치료를 불규칙적으로 받으면 오히려 사춘기가 더 빨리 오도록 자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치료 기간은 통상 2~5년이며 진단받았을 때의 연령과 골연령의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달라진다. 조자향 교수는 “성조숙증 치료의 핵심은 치료 시기”라며 “아이들은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진단하고 가능한 한 일찍 치료해야 성조숙증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신장증
평균 키보다 10㎝ 이상 작을 때 의심
질환 아니므로 검사 통해 치료 결정
성장호르몬 결핍일 땐 투여로 효과
저신장증은 같은 성별·연령대 아동 100명 중 키 순위가 97위 미만인 경우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또래의 평균 키보다 10㎝ 이상 작다면 의심해 볼 수 있다. 키가 작다는 것 자체는 질환이 아니다. 그 원인이 성장호르몬 결핍 같은 병적 요인일 수도 있으나 질병이 아닌 경우가 더 많다. 보통 부모의 키가 작아서 나타나는 가족성 저신장이나 체질적으로 늦게 성장하는 체질성 성장 지연이 가장 흔하다.
저신장 치료가 필요한지는 몇 가지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성장판 검사는 왼쪽 손목을 X선으로 촬영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해 흔히 쓰인다. 나이에 따라 팔꿈치나 어깨뼈를 같이 찍는 경우도 있으며, 1세 미만이라면 무릎 사진을 같이 찍을 수도 있다. 김자혜 서울아산병원 소아내분비대사과 교수는 “뼈 나이와 현재 연령, 현재 키를 바탕으로 최종 신장을 예측할 수도 있다”며 “다만 나이가 너무 많거나 어리면 최종 성인 신장의 예측이 어렵고 사춘기의 진행 속도, 성장 속도에 따라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대략적인 예측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상태인지는 혈액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사실 성장호르몬은 하루에도 수시로 분비량이 변하기 때문에 검사를 위해서 호르몬을 분비하도록 자극하는 약제를 투약한 뒤 여러 차례 채혈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만 성장호르몬의 자극으로 간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IGF-1’은 하루 동안의 변화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어 이 검사법을 쓰는 경우도 많다.
치료의 핵심 역시 성장호르몬이다. 성장호르몬은 골격근과 장골을 성장시켜 신체의 최종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를 체내로 투여해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게 한다. 만일 성장호르몬 결핍증 같은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2세 이후부터 치료를 시작할 수도 있다. 임신주수에 비해 작게 태어난 저신장 소아라면 4세 이후부터 치료가 가능한데, 이들 두 경우는 모두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가능하다. 원인 질환이 없지만 키가 작은 경우라면 특발성 저신장에 해당하는데 어린 나이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 다만 건강보험의 지원을 받을 수는 없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분비가 부족한 아이들에게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키를 원하는 만큼 키워주는 만능 주사는 아니다. 호르몬 수치가 정상이며 키가 정상 범위인 아이들에게는 효과가 크지 않다. 김자혜 교수는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판이 충분히 열려 있고, 투여 시작 나이나 기간에 따라서도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 따른 적절한 용량과 방법의 투여가 중요하다”며 “부작용으로 척추측만증, 고관절 탈구, 일시적인 고혈당, 두통, 부종, 구토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부작용 검사를 병행하면서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