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동채소 다양화, 기후변화 맞서
제주도, 새 소득작물 찾기 주력
건강식 관심으로 수요 느는 레드치커리
수입의존 사료작물인 트리티케일 재배도
기후위기와 월동채소 과잉생산의 반복을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가 새로운 대안 작물 찾기에 나섰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월동채소 품목 다양화를 위해 레드치커리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의 제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
제주는 온화한 기후로 인해 겨울에도 채소를 재배하는 월동채소 주산지다. 하지만 재배 작물이 무, 양배추, 브로콜리 등 일부 작물에 편중돼 있어 과잉생산, 가격폭락의 문제가 매번 반복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재배 작물의 변화가 불가피해 새로운 대안작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는 대안작물 중 하나로 2022년부터 ‘레드치커리(라디치오)’의 제주 적응성과 적합한 품종, 심는 시기 등을 연구하고 있다. 레드치커리는 붉은 잎을 가진 치커리의 한 종류로, 이탈리아가 원산지인 채소다. 최근 건강식에 대한 관심 증가로 샐러드·쌈 채소 소비가 늘고 있고, 붉은 색으로 시각적 매력을 더하는 레드치커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도농기원은 2년간의 시험 재배 결과를 바탕으로 9월에 모종을 심고 12월에 수확하면 상품 수량이 많고 질병 발생률이 낮다는 것을 확인했다. 올 하반기에는 애월지역 2개 농가에서 실증 재배를 진행해 수익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다.
사료작물의 한 종류인 트리티케일의 재배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전국 사료작물 종자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자급률이 8%에 불과하고 수입량은 매년 늘고 있다. 소의 먹이로 주로 쓰이는 트리티케일은 호밀과 밀의 교잡종이다. 쓰러짐과 추위, 습기로 인한 피해에도 강해 다른 월동작물 대비 생산성이 높고 기후변화에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주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종자를 얻는 시기가 장마와 겹쳐 안정적인 종자 생산이 어렵다. 반면 제주는 높은 기온으로 인해 성숙기를 다른 지역보다 앞당길 수 있어 트리티케일 종자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트리티케일 3개 품종을 시험 재배해 종자 생산기지로서의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연구한다. 현재 트리티케일은 11월에 심어 6월 상순에 종자를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농기원은 제주가 트리티케일 재배 적지로 판단되면 월동채소를 대체하는 새 소득작물로 농가 보급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제주가 전국 트리티케일 종자 생산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부농업기술센터는 지난 4월부터 오는 11월까지 열대작물인 사탕수수 실증 재배를 추진 중이다. 착즙용 사탕수수의 육묘기술과 최고 당도 형성시기 등을 연구하고 재배 가능성이 확인되면 희망 농업인을 대상으로 시범 재배를 할 예정이다.
한국에 수입되는 사탕수수는 수도권 일부 카페에서 착즙 주스 형태로 판매되며 꾸준히 소비되고 있다. 착즙용 사탕수수가 본격적으로 제주에 재배되면 관광 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서부농업기술센터는 기대하고 있다.
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월동채소 일부 작물에 농가 수요가 집중적으로 몰려 매년 과잉생산과 가격폭락이 반복되는 것을 막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새 소득작물 발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