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출구 앞, 버스 정류소 옆, 상가 정문 근처 등지에 방치된 전동킥보드는 보행을 가로막는 골칫거리였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지난해부터 불법 주차된 킥보드를 견인하기 시작했는데 두 달 만에 서울 전역에서 견인료와 보관료만 3억원 넘게 부과됐다. 대중교통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를 공유경제로 풀어냈다고 평가받지만, 경쟁이 붙어 늘어나는 공급량만큼 관리 체계가 따라주지 못해 애물단지 취급을 받게 된 것이다.
송파구 노인일자리 지원 기관인 ‘송파시니어클럽’은 지난해 처치 곤란이던 전동킥보드 문제를 지역 일자리와 연계해보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킥고잉 운영사 (주)올룰로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송파구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주민 12명을 모집했다. 어르신들에게 주 3일, 하루 2시간30분씩 킥보드 정리 업무를 맡기기로 한 것이다.
구는 지난 7일부터 잠실역 등 전동킥보드 사용이 많은 6개 구역에서 ‘시니어 전동킥보드 서포터즈’가 업무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들은 인도 위 점자블록이나 자전거 전용도로, 횡단보도 근처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면서 넘어져 있거나 주차 구역이 아닌 곳에 세워진 킥보드를 이동시키고, 재배치한다. 통행에 불편을 주고 안전사고에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조치를 취한다. 전동킥보드와 앱을 이용해 올바른 방식으로 주차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한 어르신만 서포터즈로 모집했다.
어르신들에게 지급되는 시급 1만원 인건비는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자치구의 노인일자리사업 예산으로 지원된다. 총 22시간 근무할 수 있고 이를 다 채우면 킥보드 업체 측에서 10만원 장려금을 지원해 1인당 최대 33만원을 벌 수 있다. 업체 입장에서도 건당 4만원씩 부과되는 견인이 한 달에 400건 넘게 이뤄지고 있어, 자치구 차원의 이 같은 관리가 경제적으로 이득이 된다.
송파시니어클럽 남궁정미 주임은 “고령층 인구는 급증하는데 노인 일자리는 한계가 있다”며 “경기도에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은 송파구 내 지하철역은 전동킥보드 숫자도 많고 방치된 비율도 높다는 점에 착안해 나온 정책”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