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광화문 등 1조5000억 들여 ‘대심도 빗물터널’…서울 ‘침수지도’ 2024년 공개

김보미 기자

서울시, 10년만에 방재목표 시간당 100㎜ 호우로 상향

연내 서울 모든 지하철 역 입구에 ‘물막이판’ 설치

서울에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8월8일 밤 대치역 인근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물에 잠겨 있다. 성동훈 기자

서울에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8월8일 밤 대치역 인근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물에 잠겨 있다. 성동훈 기자

서울 전역의 지역·가구별 침수 이력과 대피경로 등을 표시한 ‘재해지도’가 오는 2024년 공개된다. 서울의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에는 물막이판이, 침수 지역 맨홀에는 추락 방지시설이 설치된다. 강남역, 광화문 등지 지하 공간에 만들기로 한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은 2032년까지 6곳에 완성된다.

서울시는 지난 8월 도심 987만㎡가 침수되고 8명이 사망한 집중호우가 기후 위기로 일상화될 수 있다고 판단해 강우처리 목표를 상향하고, 10년간 3조5000억원을 투입해 수해 안전망을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실제로 수도권에 내린 국지성 호우 특보는 2021년 3건에서 2022년 91건으로 30배 이상 증가했다. 올여름 폭우의 경우 15~30분마다 비구름대가 생성돼 기상이 급변하는 일이 잦았다.

이에 서울시는 2012년 시간당 95㎜로 정한 서울 전역 방재성능목표를 100㎜로 올렸다. 시간당 115㎜가 내린 강남역 일대는 취약침수 지역으로 목표치를 110㎜까지 강화했다. 앞으로 서울의 방재 시설은 시간당 100~110㎜ 강우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목표 상향에 맞춰 지역별 대책도 다각화된다. 우선 2032년까지 1조5000억원을 투입해 서울 6개 지역에 총 18.9㎞ 길이의 대심도 빗물 배수 시설을 설치한다. 지하 40~50m 깊이의 터널은 폭우가 내리면 빗물을 저장했다가 하천으로 방류한다. 서울시는 강남역과 광화문, 도림천에 2027년까지 1차로 완공한 뒤 사당역·용산·길동 일대는 10년 내 완성할 계획이다.

1차 터널 건설에 들어가는 총 9000억원의 예산 중 25%는 국비로 충당한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 “대심도 터널 예산 가운데 국비를 50%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정비할 계획”이라며 “시 재정이 여의치 않으면 기금과 지방채도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침수에 취약한 면목·장위 등지의 420개 노후·불량 관로에 대해서도 2032년까지 1조2000억원 들여 관경 확대 등 하수관거정비에 나선다. 양재·서래 등 시내 18개 빗물펌프장의 용량을 늘리고, 신림공영차고지·종로구 신영동 등에 새로운 빗물저류조 3개도 만들어 폭우가 침수로 이어지지 않도록 처리 능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8월 호우 때 서울에서만 8명이 사망한 원인이 된 맨홀과 지하 공간 등에 대한 대책도 내놨다. 취약 지역 맨홀 1만 곳에는 연말까지 추락방지시설을 만든다. 내년 5월까지 서울의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에는 물막이판을 단다.

서울시는 침수 우려가 있는 모든 지역의 건축물 지하층과 1층 출입구에 물막이 설비를 의무화할 수 있도록 법제화를 추진하고, 제도개선 전까지는 용도변경 등 건축 인허가 때 관련 시설 설치를 조건으로 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강남역 일대에 2027년까지 대심도배수터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강남역 일대에 2027년까지 대심도배수터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광화문 일대에 2027년까지 대심도배수터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광화문 일대에 2027년까지 대심도배수터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제공

집중호우의 위험을 시민들에게 미리 알리지 못해 대처가 늦었다는 지적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침수 현황 등을 파악해 위험 상황을 문자 등으로 경고하는 시스템도 내년 5월 시범 도입된다. 산사태, 하천 침수뿐 아니라 반지하 주택이나 지하주차장, 일반도로 등 주거 지역의 침수 우려에 대한 예보와 경보도 보낸다.

반지하 등 주거 취약계층과 장애인, 고령층 1인 가구 등 긴급 대피가 쉽지 않은 주민을 대상으로는 ‘돌봄 공무원’을 지정해 침수를 막는 사전점검부터 대피 정보를 알리는 등의 지원을 하기로 했다.

또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침수 이력과 대피경로 등을 담은 ‘재해지도’를 2024년 공개할 방침이다. 이미 2014년부터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safecity.seoul.go.kr)에 과거 침수됐던 현황과 일정 수준 이상 비가 오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 대피소 등은 표기돼 있기는 하다. 여기에 거주지 인근 침수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시민들이 스스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신 내용을 추가하고 건축물과 도로 단위로 정교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침수 시간과 침수된 수심 등 구체적인 가구별 침수 이력까지 포함될 것”이지만 “정보의 공개·활용 등은 향후 공론화 과정을 거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해당 정보가 주택 가격 등에 미칠 영향으로 민원 제기될 소지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유석 국장은 “수해 예방은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시민 안전은 위해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황폐해진 칸 유니스 교내에 시위 텐트 친 컬럼비아대학 학생들 폭우 내린 중국 광둥성
러시아 미사일 공격에 연기 내뿜는 우크라 아파트 한국에 1-0으로 패한 일본
아름다운 불도그 선발대회 지구의 날 맞아 쓰레기 줍는 봉사자들
페트로 아웃 5연승한 넬리 코르다, 연못에 풍덩! 화려한 의상 입고 자전거 타는 마닐라 주민들 사해 근처 사막에 있는 탄도미사일 잔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