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글둥글, 동글동글…떡살 무늬에 따라 소원이 이뤄집니다” 놀면서 익히는 배움터, 꿈이 자란다읽음

이성희 기자

동천학교 학생들의 ‘떡 만들기’

지적장애 학생 특수교육기관인 서울동천학교 학생들이 2일 서울 종로구 떡박물관에서 떡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다. 이준헌 기자

지적장애 학생 특수교육기관인 서울동천학교 학생들이 2일 서울 종로구 떡박물관에서 떡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다. 이준헌 기자

서울시 ‘약자와의 동행’ 프로그램
특수학교 박물관·미술관 무료관람
10월에 시작, 연말까지 25곳으로
차량·수어통역사·해설사 등 지원

“동글동글동글하게 만들어서 빙글빙글 돌리고, 떡살로 찍어내면 돼요. 떡살은 떡에 무늬를 새기는 나무 도구인데, 무늬에 따라 소원이 달라져요. 이 바퀴 무늬는 바퀴가 굴러가듯 ‘모든 일이 잘되게 해주세요’ 하는 겁니다.”

서울 종로구 떡박물관의 김희연 부관장이 지난 2일 ‘꽃산병’(앙금절편) 만드는 과정을 각종 의성어와 의태어를 섞어가며 밝은 목소리로 설명했다. 한 차례 설명이 끝난 뒤에도 김 부관장은 “반죽을 꺼냈어요. 다음은 어떻게 할까요?”라는 식으로 같은 이야기를 반복했다. 이날 떡박물관을 찾은 이들은 노원구 서울동천학교 고3 학생 22명이다. 모두 발달장애 학생이다.

서울시는 지난 10월 ‘특수학교 학생 박물관·미술관 무료관람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평소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가기 어려운 특수학교 학생의 현장관람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민선 8기 서울시정의 주요 정책인 ‘약자와의 동행’ 관련 사업 중 하나로, 관람료는 물론 이동차량과 보조인력·수어통역사·해설사 등을 지원한다. 동천학교 학생들이 떡박물관을 찾은 것도 이 사업 덕분이다.

“꽃산병은 큰 떡 위에 꽃 대신 떡살로 장식하는 떡이에요. 예쁘게, 꽃처럼 예쁘게 만들어야 해요.”

학생들 앞에는 개인 반죽 6개와 앙금, 떡살, 기름이 담긴 종지 등이 각각 놓여 있었다. 학생들은 알 듯 모를 듯한 소리를 내거나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했지만, 서툰 솜씨에도 떡 만들기에 열심이었다.

“둥글둥글, 동글동글…떡살 무늬에 따라 소원이 이뤄집니다” 놀면서 익히는 배움터, 꿈이 자란다

김현지양(19·가명)은 떡을 만드는 내내 입으로 ‘동글동글동글’ ‘빙글빙글’ 소리를 냈다. 김양은 “재밌다”며 “이런 데 취직하면 좋겠다. 월급이 얼마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동천학교는 중증장애 학생 비율이 높아 김양처럼 떡 만들기를 혼자 할 수 있는 학생은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이번에는 학생 2명당 1명꼴로 함께 온 동천학교 교사들이 떡 만드는 과정을 다시 설명했다. 교사들은 시범을 보이면서 손을 잡고 돕는가 하면 아예 대신 만들어주기도 했다.

그렇다고 떡 만들기에 급급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황민규군(19·가명)은 한참 동안 친구들이 떡을 만드는 모습만 쳐다봤다. 누군가 도와주려고 하면 “안 해”라며 인상을 썼다. 한 교사가 “조금 기다릴 거야?”라고 묻자 고개를 끄덕였다. 황군은 친구들이 떡을 만들어 포장지에 담고 서로 자랑하는 시간에야 꽃산병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사이 누구도 ‘빨리 만들라’고 재촉하거나 ‘그만 만들라’고 참견하지 않았다.

최우진 동천학교 교사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일상생활 자체가 공부다. 최대한 많은 경험을 제공해줘야 하는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학교 밖으로) 나갈 일이 없었다”며 “오감을 자극하는 이번 기회 자체가 놀이이자 학습”이라고 말했다.

최 교사는 “발달장애 학생들은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떡 만들기에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이라며 “먹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떡이 훌륭한 교재가 됐다. 평소 아무 생각 없이 먹었던 떡인데 전통문화를 체험한 것이라는 점도 의미 있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인 꽃산병을 만든 것도 학생들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선택이었다. 김 부관장은 떡살의 의미도 전하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옛날에는 가문의 염원 등을 담은 떡살이 대대로 전해지기도 했다”며 “떡에 문양을 새길 수 있고 그것에 우리의 마음과 정서를 담았다는 점은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관장은 학생들에게 마지막 인사도 잊지 않았다. “꿀떡 좋아한다고 꿀꺽 먹으면 안 된다고 했죠? 오늘 만든 떡도 꼭꼭 씹어서 물과 함께 먹어야 해요.”

연말까지 동천학교를 비롯한 특수학교 25곳의 학생·교원 2000여명이 박물관과 미술관 관람에 나선다. 서울 소재 32개 특수학교 학생·교원 총 6121명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로, 지체·청각·시각장애 학생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이 사업에는 떡박물관 외에도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뮤지엄김치간 등 국공립·사립 박물관과 미술관 30곳이 참여한다.

주용태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평소 박물관·미술관 나들이가 어려웠던 특수학교 학생들처럼 문화향유 사각지대에 있는 시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문화약자와의 동행 정책’을 지속 개발·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훈련 지시하는 황선홍 임시 감독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라마단 성월에 죽 나눠주는 봉사자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선박 충돌로 무너진 미국 볼티모어 다리 이스라엘 인질 석방 촉구하는 사람들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