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자연 증가 시대 끝…지난해 합계출산율 0.84명

윤지원 기자
2월 3일 오후 서울역을 오가는 시민들의 모습|김기남 기자

2월 3일 오후 서울역을 오가는 시민들의 모습|김기남 기자

인구 감소세가 속도를 내고 있다. 고령화·저출산에 혼인을 미루게 된 코로나19 영향까지 겹치면서다. 지난해 인구는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0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3만3000명이 줄면서 사상 첫 자연감소가 발생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대비 3만300명(-10.0%)이 감소한 27만2400명으로 통계가 작성된 1980년 이래 첫 20만명대를 기록했다. 그간 연간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다 2017년부터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출생아 수는 61개월 연속 감소된 것이다. 반면, 사망자 수는 30만5100명으로 전년대비 1만 명(3.4%) 증가했다. 특히 20대, 60대 이상에서 전년대비 증가했다. 김수영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과장은 “저출산으로 출생아 수가 줄어들고 인구 고령화로 사망자 수가 증가하면서 최초로 인구 자연감소가 발생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혼인 연기 등으로 자연 감소는 조금 더 가팔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지난해에도 1명 미만인 0.84명을 기록했다. 가임기간 동안 여성이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인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출산율은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감소했다. 30대 초반(-7.2명), 20대 후반(-5.1명) 순으로 출산율이 떨어졌다. 평균 출산연령은 전년 대비 0.1세 상승한 33.1세다. OECD 37개국 평균과 비교했을 때 출산연령이 높은 편이다. 2018년 기준 OECD 평균(29.1)세에 비해서 한국은 2.5세가 높았는데 2020년엔 격차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김 과장은 “혼인이 늦어지면서 첫째아 출산 연령이 높아졌다. 혼인 후의 가임 기간 자체가 더 짧아지기 때문에 전체 출생아 수와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결혼 후 2년 이내에 아이를 낳은 비중은 전년 대비 0.4%p 감소한 33.9%에 그쳤다. 혼인 2년 이내 출생하는 비중은 2012년 40.5 고점을 찍은 뒤 꾸준히 줄어들었다. 결혼 5년 뒤 아이를 낳는 비중은 전년 대비 0.5%p 증가한 25.5%다.


Today`s HOT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황폐해진 칸 유니스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