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0.1시간 ↓…2.1시간 ↑
자살 시도·고립감 비율 증가
정부 ‘건강증진 계획’ 실패
초중고교 학생들의 수면시간이 줄고 인터넷 사용시간이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학생들의 일부 정신건강 지표도 악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가 2019년부터 5년 단위 학생건강증진 기본계획을 세웠지만 정책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4일 발간한 ‘학생의 정신건강 실태와 향후 과제’ 보고서에는 학생건강통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 정부 통계 원자료를 분석해 초중고교생의 정신건강 현황을 살펴본 내용이 들어 있다.
학생들의 게임·인터넷 사용률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초등학생의 하루 2시간 이상 게임·인터넷 사용률은 기본계획 수립 전인 2017~2018년 평균 25.3%에서 2019~2023년 36.3%로 증가했다. 중고등학생의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은 2014년 1.83시간에서 2018년 2.56시간으로 늘어난 뒤 지난해 4.66시간을 기록했다. 9년 만에 2.5배 이상이 됐다. 중고등학생의 하루 2시간 이상 게임·인터넷 사용률도 2014년 63.8%에서 지난해 92.1%까지 확대됐다.
반면 학생들의 ‘적정 수면시간 충족률’은 감소하는 추세다. 초등학생의 경우 2017~2018년 평균 55.5%에서 2019~2023년 52.9%로 줄어들었다. 중고등학생의 충족률 또한 2014년 26.0%에서 지난해 20.1%까지 떨어졌다. 기본계획 시행 전후인 2014~2018년과 2019~2023년을 비교했을 때도 중고등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6.31시간에서 6.21시간으로 감소했다.
학생들의 정신건강 지표는 나빠진 것으로 분석됐다.
중고교생의 ‘자살시도 경험률’은 2014년 4.44%에서 지난해 5.26%로 증가했다. ‘높은 고립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0년 14.11%에서 2023년 18.12%로 늘었다.
또 2018~2023년 전국 초등학교 1·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를 보면 2018~2020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들이 중학교 1학년이 되면서 자살위험군·관심군 학생이 1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입법조사처는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시간의 증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증거를 고려할 때 적절한 정책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