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결혼 전 고용률’로 회복에 21년 걸려”읽음

노정연 기자

한경연 기혼여성 고용분석

기혼 여성 고용률 꾸준히 늘었지만 비혼 여성보다 14%P 낮아
출산, 취업 막는 가장 큰 요인…“일·가정 양립 방안 마련해야”

기혼 여성의 고용률이 결혼과 동시에 떨어져 결혼 5년차에 최저에 이르고 결혼 당시 고용률을 회복하는 데 21년가량 걸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 2009~2019년 자료를 바탕으로 결혼 연차에 따른 고용률(25~64세 기준)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결혼과 함께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남성의 경우 결혼 후 고용률이 소폭 증가·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결혼 당시 68.1%에서 이듬해인 결혼 1년차에 56.2%로 떨어졌다. 그 뒤 내림세를 이어가다 결혼 5년차에 40.5%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이 결혼 당시인 68%대를 회복하기까지는 약 21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혼 남성의 고용률은 결혼 당해 연도 89.9%에서 이듬해 92.7%로 오른 뒤 95.8%(5년차)~98.2%(8년차)~93.8%(21년차)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른 고용률도 여성과 남성이 차이를 보였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2009년 48.8%에서 2019년에는 57.6%까지 증가했지만 미혼 여성(2009년 73.2%→2019년 71.6%)의 고용률보다 14%포인트 낮았다. 남성의 경우는 2019년 기준 기혼 남성의 고용률이 92.3%로 미혼 남성의 고용률 69.7%보다 22%포인트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결혼 이후 경제활동은 남성이 담당하고 육아 및 가사는 여성이 담당한다는 전통적 사고방식이 아직까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여성의 결혼 이후 경제활동 참여를 가장 어렵게 하는 요인은 ‘출산’으로 분석됐다. 기혼 직장 여성의 경우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유지율이 약 29.8%포인트, 두 자녀일 때 약 30.2%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남성은 자녀가 있을 경우 오히려 취업확률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당시 미취업 남성의 경우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확률은 오히려 24.2%포인트 증가했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여성의 육아부담이 경제활동 중단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확대하고, 노동시장의 제도개혁을 통해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바이든 자금모금행사에 등장한 오바마 미국 묻지마 칼부림 희생자 추모 행사 황사로 뿌옇게 변한 네이멍구 거리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이스라엘 인질 석방 촉구하는 사람들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