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Star냉장고에 선풍기만 덩그러니…대학 청소노동자 쉼터 ‘지방·사립·무노조’일수록 열악했다

반기웅·강한들·이두리 기자

지난달 28일 부산 동의대 정보공학관 청소노동자 휴게실 한 구석에 있던 냉장고에는 ‘2003. 4. 1’이라고 적힌 생활폐기물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 18년 전 울산 중구에서 사용하다 버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재활용 냉장고였다. 이곳에서 일하는 청소노동자 A씨는 “용역업체도 학교도 생필품을 사주지 않는다”며 “우리가 알아서 주워다 쓸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같은 대학 지천관 휴게실에 놓인 ‘금성사(GoldStar) 냉장고’ 역시 폐기물을 주워온 것이다. 청소노동자들은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 교수가 연구실 앞에 TV를 내놨더라’는 식으로 내다버린 ‘쓸 만한 물건’에 관한 정보도 공유하고 있었다.

부산 동의대 자연관 청소노동자 임시 휴게실. 빈 교수연구실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사용하고 있다. 강한들 기자

부산 동의대 자연관 청소노동자 임시 휴게실. 빈 교수연구실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사용하고 있다. 강한들 기자

동의대 자연과학관 청소노동자들은 최근까지 지하 휴게실에서 생활했다. 장마철이 되면 벽을 타고 물이 줄줄 흘렀다. 사방이 검은 곰팡이로 가득한 공간에서 밥을 먹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기관지염을 앓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피부가 뒤집어지는 사례도 있었다. 이들은 얼마 전부터 잠시 비어있는 교수연구실에 돗자리를 깔고 쉬게 된 것을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B씨는 “쌀에 곰팡이가 핀 걸 모르고 밥을 해먹은 적도 있다”며 “그런데도 용역업체에서는 다시 지하로 가라고 한다”고 말했다.

부산 동의대 청소노동자 휴게실 냉장고. 폐기물 스티커가 부착된 버려진 냉장고를 주워서 사용하고 있다. 강한들 기자

부산 동의대 청소노동자 휴게실 냉장고. 폐기물 스티커가 부착된 버려진 냉장고를 주워서 사용하고 있다. 강한들 기자

청소노동자들은 대학 캠퍼스에 서식하는 보이지 않는 유령 같은 존재들이었다. 이들의 휴게실은 인적이 드문 곳에 있거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 안내도에도 나와 있지 않다. 경향신문이 전국 15개 대학에 있는 청소노동자들의 휴게공간을 살펴본 결과 서울 소재 대학에 비해 지방대가, 노조가 있는 곳에 비해 없는 곳이, 국공립대보다는 사립대의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했다.

올여름은 특히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있지만 이들에게 에어컨은 언감생심이다. 전남 나주에 있는 동신대 해인1관에서 만난 C씨는 휴게실에 들어서자마자 “물 마시러 왔어요. 어지럽고 손이 떨려서”라고 말했다. 창고용 공간을 개조해 만든 휴게실에는 에어컨이 없었고, 선풍기 2대만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었다. C씨는 “그래도 콘크리트 바닥이 얼음장으로 변하는 겨울보다는 여름이 낫다”며 “빈말이 아니다. 정말로 바닥에 얼음이 언다”고 말했다. 한때 58명에 달했던 이 대학 청소노동자 수는 현재 30명대로 줄어들었다. C씨와 동료 D씨 둘이서 지상 5층 건물인 해인1관 청소와 주변 제초 작업까지 도맡고 있다.

전남 동신대 해인1관 휴게실. 냉방시설은 선풍기 뿐이다.  반기웅 기자

전남 동신대 해인1관 휴게실. 냉방시설은 선풍기 뿐이다. 반기웅 기자

같은 대학 해인4관을 혼자서 담당하는 E씨는 새벽 6시30분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28일 오전 9시50분 3층 계단에서 만난 E씨는 이미 온몸이 땀에 흠뻑 젖어 있었다. 빗자루로 벽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던 그는 “일이 너무 많아서 몸이 못 따라간다”며 한숨을 쉬었다. E씨의 휴게실은 1층 계단 밑에 위치해 있다. 천정이 낮아 안으로 들어가려면 한껏 허리를 굽혀야 한다. 휴게실에는 열 수 있는 창문이 없어 아예 환기가 되지 않는다. E씨는 “휴게실에 오래 머물 수 없다. 혼자서 대충 밥먹고 다른 건물로 가서 쉰다”고 말했다.

전남 동신대 해인4관 청소노동자 휴게실 내부. 에어컨이 없고 창문은 열 수 없는 구조다. 반기웅 기자

전남 동신대 해인4관 청소노동자 휴게실 내부. 에어컨이 없고 창문은 열 수 없는 구조다. 반기웅 기자

가뜩이나 좁은 공간을 쪼개고 쪼개 휴게실을 만든 대학도 있었다. 부산 동아대 인문과학대에 있는 청소노동자 휴게실은 교수연구실 1개만 한 공간에 벽을 세워 방을 3개로 쪼갰다. 방 3개를 노동자 3명, 4명, 3명씩 나눠서 쓰는 식이다. 공간이 비좁아 3명이 가로로 다닥다닥 붙어 있어 누우면 공간이 꽉 찬다. 휴게실에 널어 둔 걸레 냄새 때문에 휴게실 문은 항상 열어 둬야 한다. F씨는 “학교에서 에어컨을 설치하려면 벽을 허물고 10명이 함께 써야 한다고 했다”며 “덥더라도 방이 나눠져 있는게 낫다. 더울 땐 가만히 누워 있으면 된다”고 말했다.

퀴퀴한 냄새에 익숙한 청소노동자들도 ‘김치 냄새’만은 특히 조심하고 있다. 이 대학 총장이 머물고 있는 공간이 휴게실 바로 윗층에 있기 때문이다. 여간해서 점심 도시락 반찬으로 김치는 싸오지 않는다고 한다. G씨는 “김치 냄새가 총장실까지 갈까봐 안 먹는다”며 “아무래도 갑과 을이 있는 곳이니까 그냥 몇 년 벌어서 나간다는 생각으로 버틴다”고 말했다.

부산 동아대 청소노동자 휴게실. 교수연구실 1개 면적의 공간을 3개로 나누어서 총 10명이 사용하고 있다. 해당 휴게실은 노동자 3명이 이용하고 있다. 창문과 에어컨, 환풍구가 없다. 강한들 기자

부산 동아대 청소노동자 휴게실. 교수연구실 1개 면적의 공간을 3개로 나누어서 총 10명이 사용하고 있다. 해당 휴게실은 노동자 3명이 이용하고 있다. 창문과 에어컨, 환풍구가 없다. 강한들 기자

현장에서 만난 청소노동자들은 대부분 대학 소속 직원이 아니라, 용역업체 등에 소속된 간접고용 노동자들이었다. 급여는 최저임금 수준이고, 휴게실에는 냉·난방·환기 설비가 제대로 갖춰져 있는 곳이 드물었다. 일하다가 다치는 일이 빈번한 것도 불행한 공통점이었다. 동의대 청소노동자 노외순씨(63)는 “평소 무거운 쓰레기 더미를 들고 경사진 길을 오르내리며 일한다”며 “60대 여성들이 감당하기 힘든 일이다. 현장에서 산재가 자주 발생한다”고 말했다.

사업장에는 노동조합이 없거나 있더라도 조합원 수가 턱없이 적었다. 노조 결성률이 낮은 지방대 청소노동자들은 특히 용역업체의 통제와 감시 수위가 높았다. 29일 부산 경성대에서 만난 청소노동자들은 외부인과의 접촉 자체를 꺼렸다. 4명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모두 응하지 않았다. 이들은 “위에서 폐쇄회로(CC)TV를 보고 있다가,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는 모습이 보이면 혼내러 온다”거나 “괜히 말했다가 내 모가지(목) 날아간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잠시 대화를 나눴던 한 노동자는 “CCTV로 다 보고 있을텐데 큰일났다”고 말했다. 김영 부산대 사회학과 교수는 “청소 용역업체들은 노동자 감시와 통제를 자신들의 업무로 생각한다”며 “부당한 통제행위를 해도 불이익이나 사회적 비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일종의 갑질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성대 청소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2016년 8월 이들이 머물던 컨테이너에 불이 나면서였다. 화재 이후에야 경성대 학생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청소노동자 쉼터가 콘테이너인 줄 몰랐다”며 “실내에 따로 쉴 곳을 마련해드려야 한다”는 글을 올리면서 학교 측에 시설 개선을 요구했다. 조혁진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노조가 없는 청소 용역노동자가 학교에 기댈 언덕은 학생들뿐”이라며 “기업화된 대학에서 소비자인 학생이 목소리를 내면 학교는 대응할 수 밖다. 하지만 지역 대학의 경우 급격한 학생 수 감소 등으로 인해 예전과 같이 도움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부산대 경영관 청소노동자 휴게실. 창문, 에어컨, 선풍기가 있다. 두 명이 사용하는 공간에 침상이 사람수만큼 놓여져 있다. 사무용·회의용 책상도 구비돼 있다. 사무 공간과 휴식 공간이 따로 분리돼 있었다. 강한들 기자

부산대 경영관 청소노동자 휴게실. 창문, 에어컨, 선풍기가 있다. 두 명이 사용하는 공간에 침상이 사람수만큼 놓여져 있다. 사무용·회의용 책상도 구비돼 있다. 사무 공간과 휴식 공간이 따로 분리돼 있었다. 강한들 기자

고용 형태와 노조의 존재 여부는 휴게실을 비롯한 근무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2018~2019년 정부의 ‘공공 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직접 고용된 국공립 대학 청소노동자들의 근무 환경은 부분적으로나마 개선이 이뤄졌다. 2018년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장 휴게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가이드라인’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19년부터 냉난방 설비 설치 등의 시설개선 작업이 진행됐다.

실제 부산대·강원대·충북대·부경대 등 국립대에서 만난 청소노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휴게실에 에어컨 같은 기본 설비는 다 갖춰져 있다. 이만하면 괜찮다”고 말했다. 부경대의 경우 2018년에 용역업체 소속에서 학교 직고용으로 바뀌면서 노동환경도 개선됐다. H씨는 “용역일 때는 우리가 (업무 외 일인) 운동장 잡초까지 맸다”며 “직고용 된 이후로는 그런 것도 없고, 에어컨도 설치해주더라”고 말했다. 용역 업체 소속일 때와 달리 불편 사항도 바로 이야기할 수 있게 됐다. H씨는 “대학본부 총무과가 아니라 노동자가 일하는 건물에서 직접 관리를 하게 책임을 나눈 점도 고충 처리 속도가 빨라진 요인”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사해 근처 사막에 있는 탄도미사일 잔해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구의 날 맞아 쓰레기 줍는 봉사자들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한국에 1-0으로 패한 일본 폭우 내린 중국 광둥성 교내에 시위 텐트 친 컬럼비아대학 학생들 황폐해진 칸 유니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