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의 핵심은 의료진입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지난 8일 코로나19 재택치료 확대 방안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확대시행한 재택치료가 현장에서 잘 시행되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및 격리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정부는 재택치료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인력’의 확보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이미 2년 가까이 코로나19 현장에서 싸우며 ‘번아웃(업무 소진)’ 상황에 이른 기존 의료 인력에게 또 한 번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전담병원 의료진인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의료 인력 상황으로는 코로나19 재택치료를 확대시행하기는 다소 역부족이라고 진단했다. 엄 교수는 11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재택치료자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 환자 진료 경험이 있는 의료진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전담병원이 재택치료자를 관리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하지만 기존 코로나19 환자를 보던 의료진은 이미 소진이 많이 돼 있어서 지금과 같은 전담병원 인력으로는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발표한 재택치료 운영 모델은 누가 환자의 건강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주도형’과 ‘의료기관 주도형’ 등 두 가지로 나뉜다. 지자체 주도형은 보건소 등에서 파견된 공중보건의와 간호사들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환자의 건강이 악화될 경우 병상 배정이나 환자 이송 지원, 격리 상태 등까지 모두 관리하는 형태다. 경기도와 강원도 등이 채택해 시행 중이다. 반면 의료기관 주도형에서는 지자체와 협력 관계를 맺은 의료기관의 의료진이 환자의 건강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지자체 공무원들은 격리 관리 등 비의료적 처치만 하게 된다. 서울시 등이 채택한 방법이다.
그러나 두 모델 모두 기존 코로나19 상황에서 과중한 업무에 시달려왔던 보건소 의료진과 코로나19 전담병원 의료진에게 오롯이 부담을 지울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중대본에 따르면 환자 100명당 배치되는 의료인력은 간호사 3~5명, 의사 1~2인 수준으로 많게는 한 명이 20명이 넘는 재택치료 환자의 상태를 매일 관리해야 한다. 정부는 생활치료센터 인력과 같은 기준에 따라 의료진 수를 배정했다는 입장이지만, 완전히 격리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치료센터와 달리 자가격리 준수 여부까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재택치료의 성격상 이들의 업무 부담도 더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엄 교수는 “전담병원 내에서도 코로나19 경험이 있는 의사가 많지 않아 기존 인력이 일을 나누는 방법으로 갈 수밖에 없다”며 “전담병원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고, 민간 병·의원이 최소한 주간 환자라도 담당하는 식으로라도 관리 업무를 분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시군구공무원노동조합연맹도 지난 8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지자체는 그야말로 공무원을 노예 부리듯 사지로 내몰고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자가격리자 관리 전담공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즉각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정부는 추가 의료 인력 고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력 확충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지연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진료지원팀장은 “보건소 등에서 업무 과부하를 호소하는 곳이 상당수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기존의 행정 인력이나 격리 관리 담당 부서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서 인원을 투입하는 방안들을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