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
플랫

플랫팀

여성 서사 아카이브

여성가족부 폐지, 성폭력 무고죄 처벌 강화,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 차별은 개인적 문제” 발언, 공약 보도자료에 여성 혐오 단어인 ‘오또케’ 사용…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대 대선 과정에서 젠더 이슈와 관련해 논란을 일으킨 대목들이다. 젠더는 이번 대선의 최대 이슈 중 하나이지만, 성평등 제고가 아니라 젠더간 분열을 조장하고 갈등을 부각시키는 구도로 다뤄지고 있다. 소위 ‘이대남(20대 남성)’이 선거의 주요 공략 표심으로 여겨지면서 페미니즘은 극단적인 사상으로 치부되고 20·30대 여성은 무시되고 있다. 여성학계·활동가·시민들은 “페미니즘에 대한 반동은 기득권 수호를 위해 생산된 담론”이라며 “반페미니즘이 정치적 전략으로 선택되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 집회 참가자들이 대선 후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적은 20대 대선 투표용지 종이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 행동(혜영) 제공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 집회 참가자들이 대선 후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적은 20대 대선 투표용지 종이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 행동(혜영) 제공

한국여성학회·동아대 젠더어펙트연구소·한국성폭력상담소는 지난 19일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세대와 젠더분열을 넘는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 포럼 : 미투에서 대선까지’ 시국토론회를 열었다.

권명아 동아대 한국어문학과 교수는 “정치권은 정권 획득을 위해 반페미니즘 전략을 적극 채용했고 이대남, 젠더 갈등, 극단적 페미니즘 등의 담론으로 주권자들을 탈정치화하도록 몰아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성 할당제 폐지를 주축으로 하는 국민의힘의 이대남 담론이 기득권 수호와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권 교수는 “국민의힘이 선동하는 페미니즘 백래시(반동)는 고용 구조 개혁, 경제민주화, 탈냉전에 대한 백래시와 중층적으로 결합돼있다”며 “보수의 오래된 이념인 냉전 반공주의는, 고용 없는 성장 시대를 맞아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적을 생산하면서 갱신 중”이라고 짚었다.

소속 광역단체장의 권력형 성범죄 문제가 있었던 더불어민주당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권 교수는 짚었다. 권 교수는 “진보의 이념은 실패하거나 타협 과정에서 희미해졌고 대신 ‘이해관계 집단의 갈등’이라는 패러다임이 등장했다”며 “20대 여성과 페미니스트는 극단화된 존재로, 이대남은 반페미니스트로 표적화됐고 기득권 집단이 된 진보집단은 이런 문제 집단을 다스리는 주체로 재설정됐다”고 했다. 권 교수는 “(민주당이) 성폭력을 부정하고, 페미니즘을 부정하면서 진영을 지켰다고 생각했지만, 이 과정에서 이들이 지키고자 하는 건 진보의 가치도, 윤리나 염치도 아닌 정권뿐이라는 걸 적나라하게 확인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김은실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는 “반페미니즘 혹은 페미니즘에 대한 입장 유보가 2030 남성 유권자들의 표를 모을 수 있는 정치적 전략으로 선택되는 상황은 여성에게만이 아니라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며 “표가 거래되고 있고, 공론장이 사라졌다”고 했다.

📌[플랫]‘몇 글자 밈’이 되어 대선 판을 떠도는 혐오

📌[플랫]“우리는 이대남이 아니란 말입니까”

이날 포럼에서는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력 피해자인 김지은씨가 발제문을 통해 안 전 지사에 대한 유죄 판결이 확정됐음에도 계속되는 2차 가해와의 싸움에 대해 발표했다. 김씨는 다른 참석자가 대독한 발제문에서 “성범죄가 법으로 인정되고 (가해자가) 감옥에 가면 사람들은 ‘이제 모두 잊고 잘 살아라’라고 말하지만 현실은 다르다”며 “피해자의 온전한 일상 회복까지가 진정한 싸움의 끝”이라고 했다. 김씨는 “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권력형 성폭력을 사과하고 2차 가해자들의 공직 진출을 막겠다고 발표했지만, 안희정계 의원들은 참여하지 않았고 2차 가해를 한 사람들은 지금도 청와대와 지자체, 대선 캠프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면서 “위력 성폭력은 개인 간의 일대일 싸움이 아니라 권력구조의 불평등에 맞서는 사회적 싸움”이라고 했다.

충남도청에서 안 전 지사의 영상 촬영 담당으로 근무했고, 나중엔 안 전 지사 재판에 증인으로 섰던 정연실씨는 이날 포럼에 나와 “소수의 권력자들이 성폭력같은 건 아무것도 아니라고 여기지만 그들의 권력을 뒷받침해 주는 수많은 노동자, 권력 남용의 피해자,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이 숨을 죽이고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위력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기제가 (이번 대선 국면에서) 여성 전체에 대한 비난 기제로 확대됐다”며 “여성들이 극단적 페미니즘을 구사하고, 여기에 문제의 원인이 있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선 국면에서의 반페미니즘 분위기에 대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발언이 이어졌다. 성폭력 피해 생존자라고 소개한 한 여성 참가자는 “성폭력 피해자가 오히려 죄인이 돼 버리는 매몰찬 세상 속에서 피해자로서 제 권리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제 의견을 세상에 외치고 싶다”며 “여성은 2등 시민이 아니다. 여성도 투표권을 갖고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주권자”라고 했다.

국회 보좌진이라고 밝힌 한 여성 참가자는 “여성들의 외침은 선거판에서 ‘표 안되는 페미니즘은 좀 빠지라’는 말로 묵살됐다”며 “페미니즘과 반페미니즘이라는 착시현상에서 벗어나 민주주의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투표장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한 남성 참가자는 “20·30대 남성 중에서도 페미니즘에 공감하는 남성이 있다”며 “페미니즘 운동에 위드유로 응답하겠다”고 말했다.


이혜리 기자 lhr@khan.kr

TOP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