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더유니온 “야외 플랫폼 노동 특성 고려한 대책 필요”
“헬멧을 쓰고 한 시간이면 (더워서) 눈과 머리가 아픕니다. 하지만 콜을 끊게 되면 (콜) 흐름이 연계가 안 돼서 타이레놀(해열진통제) 먹고 일을 합니다.”(배달노동자 A씨)
배달노동자들이 폭염에 고통받으면서도 플랫폼에 종속된 특성 탓에 일을 멈출 수 없다며 제대로 된 폭염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폭염 등 이상기후로 인한 일시적 휴업수당 도입, 기상청과 플랫폼을 연계한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안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은 3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고용노동부의) 무용지물 폭염대책을 당장 바꾸라”며 “배달노동자 폭염대책을 혁신하라”고 했다. 배달노동자들은 정부의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이 고정된 사업장 없이 일하는 이동노동자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다. 라이더유니온은 “배달노동자는 위에서 내리쬐는 햇볕, 밑에서 올라오는 아스팔트 복사열, 옆 차량이 내뿜는 열기를 받으면서 헬멧까지 착용해야 한다”며 “배달노동자 같은 야외노동자들은 저마다 특수한 상황이 있는데, 각 업종과 특성에 맞게 폭염 판단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10년차 배달노동자 박준성씨는 “여름만 되면 언제 어디서 쓰러질지 몰라 항상 긴장된다”며 “폭염경보일 때도 ‘물을 많이 마시라’는 문자나 알림뿐”이라고 했다.
배달노동자들은 플랫폼에 종속된 탓에 휴식도 쉽지 않다. 구교현 라이더유니온 위원장은 “더우면 그냥 쉬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는 쉬면 손가락만 빨아야 하기 때문에 참고 일하고 있다”며 “견디고 일해야 돈을 벌 수 있으니 해열제까지 먹어가며 일하는 것”이라고 했다.
배달노동자들은 폭염·폭우·폭설 등 이상기후에 야외 플랫폼 노동자들이 일을 쉬어도 최소한의 소득을 보전할 수 있는 ‘기후실업급여’ 도입을 제안했다. 플랫폼 노동자들이 안전을 위해 일을 잠시 쉬는 작업중지를 일종의 ‘일시적 실업상태’로 간주하고 통상 수입의 70%를 보장하자고 했다.
기상청이 발표하는 체감온도보다 훨씬 뜨거운 환경에서 일하는 배달노동자들에게 적합한 온열질환 예방기준을 마련하고, 기상청 데이터와 플랫폼을 연동해 주의메시지·할증·작업중지 등을 발동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자고도 했다.
최민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활동가는 “로켓을 쏘고 반도체를 만드는 나라에서 더위에 몇십명씩 일하다 사망하는 게 과연 자연재해인가. 위험 상황에서 노동자가 스스로 작업중단을 할 수 있고, 최소한의 수입 보장을 하는 게 기후위기 범용정책으로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